국내 정유 4사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약 1조5800억원으로 나타났다. 부진했던 2023년 4조4700억원보다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한 업체는 5480억원을 남긴 GS칼텍스다. 정유업계에서는 윤활유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는데, GS칼텍스의 윤활유 수익성이 유독 돋보인다. 윤활유 영업이익률이 15%인 경쟁사와 달리 홀로 25%를 돌파했다. 이는 고부가가치 시장인 자동차용 윤활유 완제품에 집중한 결과로 풀이된다.
에쓰오일은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1.3%)을 기록했다. 정유 사업에서 4사 가운데 유일하게 적자를 기록했음에도, 모두가 부진했던 석유화학에서 비교적 견조한 수익성을 내며 이를 상쇄했다. 에쓰오일은 9조원을 투입해 울산에 대규모 석유화학 단지를 구축하는 샤힌 프로젝트를 오는 2026년 시작한다. 모회사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의 원료 가격과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 석유화학 판도를 뒤흔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에쓰오일의 석유화학 매출 비중도 현재 12~13%에서 2배 가량 끌어올릴 계획이다.

HD현대오일뱅크는 석유화학에 발목 잡혔다. 롯데케미칼과 합작한 HD현대케미칼이 7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업황에 대해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부진과 국제유가 보합세가 지속될 것으로 본다.
도널드 트럼프닫기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