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현장. 사진제공 = 픽사베이](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61821383606949dd55077bc221924813954.jpg&nmt=18)
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알짜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신반포4차' 재건축 시공사 공모가 유찰됐다. 지난 5일 입찰에 삼성물산 건설부문만 참여했기 때문이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시공사 선정은 경쟁 입찰로 진행해야 하지만, 2회 이상 입찰이 유찰될 경우 수의계약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조합 측은 조만간 공고를 시행하는 등 재입찰 일정을 조율할 전망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열린 현장 설명회에는 삼성물산·대우건설·포스코이앤씨·HDC현대산업개발·금호건설 등 총 6개 건설사가 참여했다. 이에 치열한 수주경쟁이 예상되기도 했다.
같은 서초구에 위치한 삼호가든 5차도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황다. 지난해 7월 시공사 선정 절차에 돌입했으나 건설사가 단 한 곳도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한 차례 유찰됐다. 이 사업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30-1번지 일대에서 지하 3층~지상 35층, 3개 동 305세대 및 부대복리시설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해당 단지 역시 현장 설명회에는 7개 건설사가 참여했고, 포스코이앤씨·SK에코플랜트는 입찰 참여 의향서까지 제출했지만, 모두 최종 입찰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에 조합은 공사비를 종전 3.3㎡당 980만원에서 990만원으로 인상하고 시공사 찾기에 나설 계획이다.
민간뿐만 아니라 공공도 사정은 비슷하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달 말 ‘서울 연신내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의 시공사 선정을 위한 3차 공모에 나섰다. 지난해 8월부터 총 네 차례에 걸쳐 모집공고를 올렸지만 매 회마다 참여 의사를 밝힌 건설사가 없거나 1곳만 응찰해 전부 유찰됐다. 장위8구역과 9구역, 서대문구 연희2구역 등 공공재개발 사업장도 상황은 같았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재건축 수주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공사비·금융 비용 증가 ▲부동산 경기 불황 ▲리스크 관리와 비용 부담 회피 등으로 꼽힌다. 공격적인 수주보다는 안정적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선택을 선택한 셈이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한남·압구정 등 사업지가 좋은 곳은 어느 정도 경쟁이 펼쳐지게 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건설업 상황이 위축된 만큼 사업성이 낮은 곳은 상대적으로 외면 받으면서 양극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양극화 현상이 대형건설사 브랜드 아파트 선호 현상은 키우게 돼, 중·소건설사는 살아남기 힘든 환경이 펼쳐지 게 것이라고 설명한다.
양 수석은 “사업성이 좋은 곳은 조합원 입장에서도 대형건설사가 참여하는 게 좋고, 대형건설사들도 주요 지역에 브랜드 깃발을 꽂음으로써 긍정적인 시너지를 발휘하게 된다”며 “다만 이같은 현상은 굵직한 건설사만 살아남게 되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