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는 지난 2015년 6월 체계 개발에 착수, 2022년 11월 개발을 완료하고 생산에 들어간 최초 양산 1호기를 육군에 납품하게 됐다. 이번을 시작으로 오는 2031년까지 전력화가 진행될 예정이다.
미르온은 육군의 노후화한 500MD와 AH-1S 코브라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됐다. 공대지 미사일 '천검'을 비롯해 기관포와 2.75 로켓까지 장착해 막강한 공격력을 갖췄다.
조종 편리성을 위한 장치로 4축 자동비행조종장치(AFCS)를 적용해 기류나 사격 반동으로 기체를 자동으로 제어하며 고정사격할 수 있다. 실시간 전장 상황을 공유할 수 있는 합동전술데이터링크시스템은 동급 기종 중 미르온이 유일하다.
KAI는 이번 양산 1호기 납품을 시작으로 미르온 양산 체계를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소형무장헬기(LAH)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수작전 공격 헬기와 지휘 통제 헬기와 같은 다양한 파생형 헬기를 개발해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 나설 예정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전력화 완료까지 철저한 항공기 품질관리로 적기 납품과 운용지원을 완수하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우리 군의 첨단 항공전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