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기자회견서 ‘기업가치 제고 위한 밸류업·중장기 성장전략’ 내놔
‘비유기적 성장·다각화’ 키워드 제시…인수합병·8000억 투자한다
2028년 그룹 이익 1조 전망…연 평균 25% 주주환원 목표 제시
“경영권 안 뺏긴다, 한미약품 주총서도 최대주주 의결권 행사할 것”
이미지 확대보기한미사이언스는 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미그룹 밸류업 및 중장기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한미사이언스 경영지원 김영호 상무, 한미그룹 브랜드본부장 로이스김 부사장, 한미사이언스 헬스케어 사업부문 박준석 부사장,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이사, 한미사이언스 노용갑 부회장, 온라인팜 우기석 대표이사, 한미정밀화학 장영길 대표이사, JVM 이동환 대표이사. /사진제공=한미사이언스
[한국금융신문 김나영 기자] 한미그룹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가 오는 2028년까지 그룹 이익을 1조 원대로 키우겠다며 중장기 전략으로 ‘비유기적 성장’과 ‘다각화’를 내세웠다. 탄탄한 경영권을 토대로 그룹을 지속 성장시키겠단 방침이다.
한미사이언스는 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미그룹 밸류업 및 중장기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기자회견엔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를 비롯, 우기석 온라인팜 대표, 장영길 한미정밀화학 대표, 이동환 JVM 대표 등 주요 계열사 임원진이 참석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총 6개 주요 중장기 전략 과제를 제시했다. 과제엔 ▲인수합병(M&A), 코프로모션을 통한 치료영역(TA) 확대 ▲글로벌 혁신 신약 R&D 역량 개선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 다각화(한미사이언스) ▲원료 CMOICDMO 사업 확대(정밀화학) ▲상품 구색 다양화 및 물류 역량 강화(온라인팜) ▲유럽 및 북미 등 신규 시장 개척(JVM) 등이 포함됐다. 적극적인 M&A와 투자로 외적 성장 동력을 키우겠단 것이다.
이미지 확대보기한미사이언스는 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미그룹 밸류업 및 중장기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사진제공=한국금융신문 김나영 기자
구체적으론 그간 한미그룹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정신질환 및 신경계 관련 기업을 M&A로 성장시킬 예정이다. 주요 혁신신약 개발 영역은 ‘비만·대사’(Obesity·Metabolism), ‘항암’(Oncology), ‘희귀질환’(Rare Diseases), ‘신규플랫폼’(Modality) 등 총 4가지 분야로 자체 연구개발과 함께 투자를 통한 기술도입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그룹사 전반의 연구개발(R&D) 역량을 키운다. 이를 위해 약 20~30여 개의 바이오테크기업들과 교류, 혁신 기술∙물질을 선점할 계획이다.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도 다각화한다. 수술용 로봇 등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로 확장해 나간다. 제약 영역 외 건강기능식품, 기능성화장품, 퍼스널케어 제품 등 컨슈머헬스 영역으로 진출한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M&A에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
이외 정밀화학은 CMD·CDMO 사업에 집중한다. 온라인팜은 전략적 파트십을 통해 물류 속도와 제품 구색을 강화하고, JVM은 유럽 및 북미에서 영업과 유통 인재를 육성, 신규 시장을 개척할 거란 계획도 세웠다.
김영호 한미사이언스 경영지원 상무는 “이번 중장기 계획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비유기적 성장’과 ‘다각화’ 두 가지”라며 “이를 통해 2028년엔 그룹 이익을 1조 원대로 키울 수 있다”고 자신했다.
이달 28일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경영권 확보를 자신했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 정관변경은 불가능하며 설령 이사진이 5대 5 동수로 재편돼도 임종훈 대표이사 체제는 2027년까지 계속된단 주장이다. 이후 회사는 다음 달 19일 열릴 한미약품 임시 주주총회에서 41.4%의 지분을 행사, 이사진 재편을 요구할 계획이다.
한미사이언스 측은 “2025년 3월 정기 주총 시 3자연합 측 이사진으로 분류되는 3명의 이사진 임기가 만료되고, 2026년 3월 주총에도 송영숙 회장의 임기가 만료된다”면서 “2026년 3월엔 5명의 이사진의 임기가 모두 만료된다. 이에 따라 임종훈 대표 측을 지지하는 이사진 진입이 가능해져 지주사 지배력이 확대된다”고 했다.
한편, 한미약품의 현 지분구조는 한미사이언스가 최대주주로서 41.419%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2대주주는 9.998%를 갖고 있는 국민연금이다. 3자연합의 지분은 9.141%다.
한미사이언스 지분구조는 ▲임종훈 대표 측 25.6% ▲송영숙 회장 등 3자연합 33.78% ▲친인척 3.10% ▲가현문화재단 및 임성기재단 8.09% ▲국민연금이 5.89% 등으로 이뤄져 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