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SK증권은 미래에셋증권에대해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목표주가는 1만원으로 전일 종가대비 16.1% 상승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SK증권은 미래에셋증권의 사업 방향에 대해 의구심은 없다고 평가했다. 미래에셋증권이 그간 주력한 분야는 크게 퇴직연금 등 자산관리(WM)와해외 사업으로 나뉜다.
초대형 투자은행(IB) 중 미래에셋증권의 WM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9년 30%를간신히 상회했다. 현재는 30% 중후반을 기록하는 등 노력의결실을 맺고 있다. 여타 초대형IB들이 경쟁이 치열한 기업금융(IB) 분야에 집중하는 동안 미래에셋증권은 고령화, 경제의 제한적성장 등 넓은 시각으로 시장을 바라본 결과다.
한편, 증권사를 비롯한 금융사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대고객 기준 AI기술은 B2B보다 B2C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AI기술을 도입한 미래에셋증권이 WM 부문을 강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미래에셋증권은 그 특유의 공격성 탓에 해외 부동산부문 불확실성이 발목을 잡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기업가치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본질적 측면에서 보면 방향성 측면 긍정적 측면은 기업가치에 온전히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평가다. 해외 사업 리스크가 피크아웃을 지나 점차 안정되고,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을 펼치는 만큼 유의미한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이 확인되면 미래에셋증권 기업가치는 가파르게오를 수 있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