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 지주사인 ㈜두산은 이날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4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 나선다. 만기는 1.5년물(200억원)과 2년물(200억원)로 구성됐다.
조달된 자금은 이달 말과 다음달 돌아오는 채권 만기 상환에 쓰인다. 대표주관업무는 KB증권, 미래에셋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이 공동으로 담당한다.
한국신용평가는 두산에 ‘BBB+, 안정적’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나이스신용평가는 ‘BBB0, 긍정적’을 부여하고 있다.
현재 국내 채권 시장은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지만 반대로 올릴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지배적인 탓이다.
시장 상황이 우호적인 가운데 총 4곳의 대규모 주관사단을 꾸린 것도 긍정적이다. 미매각 가능성이 낮은 가운데 최근 공모채 수요예측을 진행한 삼척블루파워가 우려를 딛고 완판에 성공하는 등 강한 리테일 수요도 확인했다. 이전부터 두산 회사채는 리테일 시장에서 인기가 높았던 만큼 이번 수요예측에서도 흥행이 예상된다.
이번 총 모집금액은 400억원으로 이전 대비 작고 만기도 짧게 구성됐다. 장기채 대비 단기채 수요가 강한 만큼 미매각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두산 회사채 강세의 핵심은 앞서 언급한 계열 전반 우수한 이익창출력에 기반한 재무안정화 추세의 지속이다. 현재 두산그룹은 두산이 핵심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 지분 30.4%를 보유하고 있으며 두산에너빌리티가 두삽밥캣 지분 46.1%를 갖고 있는 구조다.
이중 두산 신용등급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곳은 두산에너빌리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정부의 원전정책에 힘입어 영업현금흐름 개선을 통해 연결 순차입금을 1조원(2022년 말 대비 2024년 1분기 말) 넘게 축소했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155.5%에서 154.6%로 차입금의존도는 28.9%에서 27.5%로 각각 개선됐다. 지난 2022년 자회사(두산퓨얼셀, 두산밥캣 등) 지분가치 하락으로 순손실을 기록했으나 2023년 두산밥캣 관련 PRS(주가수익스와프) 계약 종료와 함께 영업외변동성을 제어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에너지산업은 정부 정책 영향을 많이 받는 만큼 향후 정권 교체 시 위험성이 존대한다. 과거 두산그룹은 정부의 탈원정정책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불가피했다. 하지만 시장 변화에 대한 빠른 대응 부재(석탄발전 중심 포트폴리오)도 그룹을 ‘위기’로 몰고 가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투자은행(IB) 관계자는 “불과 몇 년 그룹 핵심 계열사 매각 등 뼈를 깎는 구조조정 당시와 비교하면 현재는 완전히 환골탈태한 모습”이라며 “이번 회사채 수요예측 관전포인트는 단순 ‘흥행’이 아닌 수요규모와 결정금리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두산은 발전 기자재 전문 그룹인 만큼 향후 에너지 트렌드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고 선점하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성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lsk060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