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6.29(토)

정용진 CEO수시교체 2호는 SSG닷컴·G마켓…새 대표는 최훈학 전무·정형권 전 알리 총괄

기사입력 : 2024-06-19 10:57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정용진, 회장 승진 이후 두 번째 CEO 수시교체
이인영 SSG닷컴 대표, 전항일 G마켓 대표 나란히 교체
SSG닷컴 새 대표는 최훈학 SSG닷컴 영업본부장
G마켓 새 대표는 정형권 전 알리바바코리아 총괄

최훈학 신임 SSG닷컴 대표(왼쪽), 정형권 신임 G마켓 대표. /사진제공=신세계그룹 이미지 확대보기
최훈학 신임 SSG닷컴 대표(왼쪽), 정형권 신임 G마켓 대표. /사진제공=신세계그룹
[한국금융신문 박슬기 기자] 신세계그룹은 19일 그룹 내 이커머스 사업을 맡고 있는 SSG닷컴과 G마켓의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단행했다. 이인영 SSG닷컴 대표와 전항일 G마켓 대표를 교체하고 핵심 임원들을 새 얼굴로 채웠다. SSG닷컴의 새 대표는 최훈학 영업본부장이 내정됐고, G마켓은 정형권 전 알리바바코리아 총괄을 영입했다.

신세계그룹은 “이번 인사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할 경우 수시 인사를 단행해 효과를 높이겠다는 그룹 방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정용진닫기정용진기사 모아보기 회장은 지난해 11월 그룹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경영전략실을 개편하면서 실적과 성과 중심의 인사 평가 제도 구축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계열사 CEO를 대상으로 ‘신상필벌 인사’를 예고했다. 실적이 부진한 CEO는 수시 교체하고 성과에 따른 보상을 강화하는 게 핵심 내용이다.

이후 지난 4월 정 회장의 CEO 수시교체 1호로 정두영 신세계건설 대표가 경질됐고, 2호로 이인영 SSG닷컴 대표와 전항일 G마켓 대표가 그 대상이 됐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이인영 SSG닷컴 대표와 전항일 G마켓 대표는 2선으로 물러나 자문 역할을 맡는다.

SSG닷컴은 신임 대표에는 최훈학 전무가 내정됐다. 신세계그룹은 그로서리 및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영업본부장을 맡아온 최훈학 전무가 대표를 겸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D/I(Data/Infra) 본부장에는 이마트 D/T(Digital Transformation) 총괄을 맡고 있던 안종훈 상무가 자리를 옮겼다.

SSG닷컴은 기존 조직을 대대적으로 개편해 슬림화를 통한 특화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기존 4개 본부(D/I, 영업, 마케팅, 지원) 체제를 2개 본부(D/I, 영업)로 줄였다. 마케팅본부는 영업본부로 통합했다. 지원본부 부서들은 대표 직속으로 둔다.

신세계그룹은 G마켓을 이끌 새 대표로는 정형권 정형권 前 알리바바코리아 총괄을 영입했다.

정 신임 대표(부사장)은 알리바바코리아 총괄 겸 알리페이 유럽·중동·코리아 대표를 지냈다. 골드만삭스, 크레딧스위스 등에서 근무했고 쿠팡에서 재무 임원으로도 일했다.

신세계그룹은 “투자, 이커머스 및 핀테크 업계를 두루 거친 재무 전문가로서 새로운 리더십 구현을 통해 지마켓 체질 개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해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균형 있는 성장 토대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G마켓은 주요 핵심 임원들을 물갈이하는 한편 역량 및 효율성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도 진행한다.

기존 PX본부를 PX(Product eXperience)본부와 Tech본부로 분리한다. 개발자 조직인 Tech본부를 별도 조직으로 둬 AI 등 미래 성장을 견인할 기술 분야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겠단 의지다.

G마켓 CPO(Chief Product Officer, 최고제품책임자)에 해당하는 PX본부장에는 네이버 출신인 김정우 상무를 영입했다. 신임 Tech본부장은 쿠팡 출신의 오참 상무를 영입했다.

경쟁력 있는 외부 인력을 적극적으로 영입함으로써 조직 전반에 긴장감을 높이는 한편 혁신에도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미다.

신세계는 “이번 리더십 변화는 신세계그룹이 추진해온 이커머스 혁신 토대의 완성”이라며 “이커머스 혁신 비전은 지난해 11월 그룹 경영전략실을 개편하며 본격화됐다”고 말했다. 그룹 전반적인 혁신과 함께 철저한 성과 중심의 인사 시스템을 강조한 것도 이때라는 게 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신세계는 지난해 쇄신 기조 속 그룹 차원에서 핵심 사업들의 미래 전략들을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이커머스 사업군의 새로운 성장 동력 마련이 절실하다고 판단했다.

신세계는 새로운 성장 동력 구축을 위한 첫 번째 행보로 이달 5일 CJ그룹과 체결한 사업 협력을 했다. 신세계그룹은 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물류 역량만으로는 현재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봤다. 이에 CJ와 협업을 통해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은 더욱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기존의 해법으로는 풀기 어려웠던 문제를 외부와의 파트너십으로 풀어냈다.

이런 전략은 이커머스 사업이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바탕이 됐다.

신세계그룹은 플랫폼 물류 시스템 정비에 이어 주요 핵심 임원을 동시에 교체하는 ‘완전한 변화’를 선택함으로써 주춤했던 온라인 사업의 새로운 성장에 시동을 걸었다.

신세계그룹은 “온라인 플랫폼 재도약을 위한 혁신 드라이브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대한민국 최고의 유통 기업인 신세계가 시장 선도자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박슬기 기사 더보기

[관련기사]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