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은 지난해 매출이 3조4106억원으로, 전년(3조1291억원) 대비 9%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전년(1122억원)보다 무려 89.1% 오른 2121억원을 냈다. 구체적으로 농심은 지난해 신라면 매출이 1조210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그중 해외에서만 7100억원(58.7%)을 벌어들였다. 신라면 판매량은 16억6000만개에 달한다.
농심은 국내에서도 지난해 먹태깡으로 스낵 신드롬을 일으켰다. 먹태깡은 지난해 6월 새우깡 후속작으로 출시됐다. 맥주 안주로 인기 있는 먹태를 어른용 스낵으로 선보였다. 출시하자마자 편의점 품절 대란을 낳았다. 먹태깡은 반년 만에 1273만 봉지가 팔리는 등 저력을 보였다. 이에 농심은 먹태깡 생산량을 주당 30만개에서 60만개로 늘렸다.
농심은 먹태깡으로 전체 스낵 매출도 끌어올렸다. 지난해 농심 스낵 매출은 5050억원으로, 전년(4452억원)보다 13.4%나 올랐다.
이렇듯 농심 매출에서 라면, 스낵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8.6%, 14.8%이다. 이를 합산하면 93.4%에 이른다. 지난해 대내외 경기 불황으로 라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전체 실적을 견인했지만, 지나치게 의존적 구조는 불안요소로도 꼽힌다. 이에 신동원 회장은 건강기능식품, 스마트팜 같은 신사업에 골몰하고 있다.
농심은 지난 2020년 3월 건기식 브랜드 ‘라이필’을 론칭했다. 이어 더마 콜라겐, 유산균, 오메가3, 락토페린 등 다양한 분야 제품군을 선보였다.
농심은 또 중동을 겨냥해 스마트팜을 적극 수출하고 있다. 중동은 사막이라는 지형과 척박한 기후환경으로 농업에 취약하다.
농심은 중동 현지에서 인기 높은 국산 딸기를 재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했다. 지난 2018년 사내 스마트팜 사업팀을 꾸려 본격 가동했다. 60평 규모 특수작물 연구를 위한 재배시설과 200평 크기 양산형 모델 스마트팜을 신설했다. 이후 농심은 지난 2022년 11월 오만을 시작으로,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스마트팜을 수출했다.
스마트팜은 온도와 습도는 물론 공기 중 이산화탄소 함량과 광량, 영양분 등 모든 환경조건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원격 모니터링 제어도 가능하다. 농심은 스마트팜 재배설비와 LED, 환경제어시스템 등 대배분 자재들과 소프트웨어를 모두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신동원 농심 회장은 지난 2021년 11월 이병학 단독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이 대표는 충남대 농화학과를 졸업해 1985년 농심 품질개발실에 입사한 ‘농심맨’이다. 35년 넘게 농업현장에서 근무해왔다.
농심 생산공장 자동화, 첨단화 작업을 주도한 인물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생산라인에 접목해 효율성을 높인 만큼 신 회장이 추진하는 스마트팜 사업에도 적임자라는 평가다.
신 회장은 “글로벌 사업 확장은 시대적 과제로, 글로벌 기업 수준에 맞는 인프라와 프로세스, 핵심 역량을 재정비해야 한다”라고 했다. 이어 “한국 스마트팜 기술력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는 것과 동시에 중동에서 농업 발전과 식량 자급률 향상에도 일조해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라고 덧붙였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