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원 대상자는 2021년 이후 출산한 부영그룹 직원 66명 중 탄생한 자녀 총 70명이다. 이에 이번 출산장려책에 따른 지원 규모는 총 70억원이다. 대상자 70명 가운데 연년생을 출산한 직원이 3명, 쌍둥이 출산 직원 2명이 포함됐다. 다만 부영그룹 사내부부의 경우 장려금이 중복되면서 출산아이 한명이 제외됐다.
이중근 회장은 “아이들에게 돈이 크게 들어가는 시점에 맞춰 어떻게 지급해야 할지 고민했다”며 “3년간에 걸쳐서, 3년 후에도 쓰라는 의미로 대상자를 2021년 이후 기준으로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당장 급한 돈·집을 주겠다면 아이를 낳지 않을까 생각했다”며 “이번 증여방식은 세금문제와 관련해 기부가 제도적으로 보장돼야 한다는 의미를 정부에 전달하기 위해서 선택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로 회사가 직원에게 1억원을 지급하면 통상적으로 근로소득으로 잡혀 연봉과 합친 총 금액에 대한 소득세를 떼게 된다. 예를 들어 부영그룹 직원들의 기본 연봉이 5000만원이라면 1억원이 추가되면서 근로소득 1억5000만원에 달한다. 이같은 경우 최대 38% 세율이 적용됨으로써 4000만원에 가까운 세금을 내야한다는 의미다. 다만 이 회장의 묘수인 증여로 세금이 계산된다면 증여세 10%가 적용돼 1000만원만 내면 된다.
이와 관련해 이 회장은 ‘출산장려금 기부 면세제도'를 제안하기도 했다. 출산장려금 확대를 위해 이를 면세 대상으로 하고 기부자에 대해 소득공제를 해주자는 것이다.
업계에선 세무당국이 이와 관련해 증여로 볼지, 근로소득으로 볼지 판단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출산 지원에 나서도록 출산 장려금을 기부금으로 보고 세금을 면제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에, 기업의 증여 방식의 출산장려금이 탈세·편법 등에 악용될 수 있다는 주장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현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