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4(일)

'창사후 최대 위기' 카카오 김범수...파격적 쇄신안 나올까

기사입력 : 2023-11-07 11:06

(최종수정 2023-11-07 12:1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계열사 전반 퍼진 사법 리스크
경영진 도덕적 해이 지적 이어져
김 센터장, “계열사에 책임 묻겠다”
경영쇄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일선 복귀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 사진제공=카카오이미지 확대보기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 사진제공=카카오
[한국금융신문 이주은 기자] 카카오(대표 홍은택닫기홍은택기사 모아보기)가 코너에 몰렸다.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혐의에 이어 핵심 계열사인 카카오모빌리티로 사법 리스크가 퍼졌다. 정부가 연일 카카오를 전방위적 압박하면서 지난해 데이터센터 화재 때도 뒤편에 서 있던 김범수닫기김범수기사 모아보기 센터장이 전면에 나섰다.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상황이라고 판단해서다. 카카오 공동체에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만한 파격적 경영쇄신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이 같은 최악의 상황이 시작된 건 지난달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투자총괄 대표와 핵심 경영진 2명을 SM엔터테인먼트 주식 시세조종 혐의로 검찰에 송치하면서다. 특사경은 이들이 SM엔터 인수 경쟁 상대였던 하이브 공개 매수를 방해했다고 봤다. 현재 배 대표는 구속된 상태다. 김범수 창업자와 홍은택 대표도 줄줄이 소환돼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설상가상으로 카카오모빌리티 분식회계 의혹까지 불거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쟁업체 가맹택시 콜 차단 행위와 부당 가맹 계약 혐의 등으로 카카오모빌리티를 조사하고 있다. 윤석열닫기윤석열기사 모아보기 대통령이 카카오 택시 사업을 부도덕하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하면서 위기감은 한층 고조됐다. 사실상 검찰, 금감원, 공정위 등 핵심 사정기관이 일제히 카카오 공동체를 들여다보고 있는 셈이다.

올해 카카오 주가 추이. / 자료=유가증권시장이미지 확대보기
올해 카카오 주가 추이. / 자료=유가증권시장
하지만 모든 위기가 그런 것처럼 카카오의 이런 위기도 갑자기 불거진 것은 결코 아니다. 진작부터 카카오 공동체 내부에 위기감은 감돌고 있었다. 지난해 카카오는 경영진을 네 번이나 갈아치웠다. 여민수·조수용 공동대표 체제에서 조수용 대표가 사임한 것을 시작으로 류영준닫기류영준기사 모아보기 카카오페이 전 대표는 스톡옵션 먹튀 논란(상장 후 스톡옵션으로 보유 중인 주식 대량 매도)에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남궁훈닫기남궁훈기사 모아보기·홍은택 각자대표 체제를 이어가다가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남궁훈 전 대표가 사퇴했다. 사고가 터지면 경영진을 교체하는 식이다.

올해는 실적 부진을 이유로 계열사 곳곳에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카카오브레인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얘기다. 이 가운데 남궁훈 전 대표는 상반기 스톡옵션으로 94억원 가까이를 보수로 챙겼다. 카카오 주가가 15만원 이하면 스톡옵션을 행사하지 않겠다던 그의 발언에 더욱 논란이 됐다. 카카오 전 CFO는 법인카드로 무려 1억원 가까이 게임 아이템을 샀지만, 정직 3개월 수준에서 마무리됐다. 꾸준히 책임경영과는 상당히 거리감이 있는 행보가 이어졌다. 카카오 노조는 이전부터 ‘책임지지 않는 리더십’을 문제로 지적해 왔다.

일각에서는 카카오가 직면한 여러 문제가 김 창업자 인사·경영 시스템에서 촉발됐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김 창업자는 카카오 창립 초기부터 동고동락한 동지들을 공동체 대표로 다수 영입했다. 그리고 창의성과 역동성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계열사 경영에 간섭하지 않는 수평적 경영기조를 유지했다. 카카오와 카카오 계열사를 부를 때 카카오 ‘공동체’라고 칭해 온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한 독립경영 기조가 오히려 시스템을 망가트렸고, 결과적으로 부실한 컨트롤타워 문제를 만들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김 창업자 방식이 오히려 경영진 도덕적 해이를 야기했다는 것이다.

김범수 센터장은 나름 특단의 결정을 내린 듯하다. 지난달 김 센터장은 홍은택 카카오 대표 등 주요 계열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공동체 경영 회의를 진행, 준법 경영 실태를 점검하는 강력한 외부 기구를 설립해 외부 통제를 받아들이겠다고 결정했다. 외부 기구인 ‘준법과 신뢰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과도한 관계사 상장, 공정거래법 위반, 시장 독과점 등 외부에서 잇단 지적받은 사항에 대해 조사 권한을 갖는다. 초대 위원장에는 김소영 전 대법관이 위촉됐다.

또 현재 상황을 비상 경영 체제로 인식하고, 경영쇄신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장은 김 센터장이 직접 맡았다. 지난 6일 김 센터장은 “지금까지 각 공동체 자율과 책임경영을 위해 권한을 존중해왔지만, 창업자이자 대주주로서 창업 당시의 모습으로 돌아가 위기 극복을 위해 앞장서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영진 교체 가능성도 시사했다. 김 창업자는 “나부터 준법과 신뢰위원회 결정을 존중할 것이며 그렇지 않은 계열사들의 행동이나 사업에 대해선 대주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김 창업자의 경영쇄신 의지가 실질적인 공동체 경영 체질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일이다. 현재 카카오 공동체 내 대표직에는 김 창업자와 초창기부터 함께한 인력들이 다수 포진돼 있기 때문이다. 내년 3~4월을 기점으로 전체 144개 계열사(지난 8월 기준) 중 절반 이상인 77명의 임기가 끝난다. 주요 계열사로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게임즈 등이 속한다.

현재 카카오 공동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있는 CA 협의체도 자유롭지 못하다. CA 협의체는 ▲김정호 브라이언임팩트 이사장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 ▲권대열 카카오 정책센터장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 4인 총괄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카카오는 매주 월요일 공동체 경영 회의를 열고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이주은 기자기사 더보기

산업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