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증권사의 국내 지점 수는 788개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835개)보다 47개 지점이 줄었고 직전 분기(798개)보다는 10개 지점이 감소했다.

이밖에 신한투자증권(대표 김상태닫기


이처럼 증권사가 지점을 축소하게 된 배경은 HTS·MTS를 활용한 비대면 투자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기존 대면으로만 가능했던 증권사 계좌 개설도 지난 2016년부터 비대면 개설이 허용됐다.
이어 “영업점을 축소한 대신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운영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면서 “상반기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지난해(6.3%)보다 6%p 오른 12.3%로 개선한 만큼 자본 운용의 효율화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비대면 서비스에 익숙한 세대가 증가하기 때문에 증권사의 디지털화와 지점 축소는 앞으로 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 올해 상반기 자기자본 상위 10대 증권사의 전산운용비는 2600억원으로 전년 동기(2368억원)보다 9.8% 증가했다. 전산운용비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키움증권(476억원)이며 삼성증권(455억원), 미래에셋증권(396억원) KB증권(303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대면 거래와 서비스가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금융소비자 보호와 고용 안정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고령층 고객도 디지털 서비스 환경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비대면 금융 상담 강화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며 “지점의 대형화·효율화를 통해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고용 안정과 관련해서는 “정규직으로 채용한 임직원을 지점 축소를 이유로 내보내는 건 불가능”이라면서 “해당 인력은 디지털 분야에서 주식·금융 상담 등의 업무를 이어갈 수 있도록 조정했다”고 말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