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은 금융허브 효과를 이같이 밝혔다.
실제로 미국과 영국의 경우 뉴욕과 런던을 중심으로 한 금융허브의 부가가치가 국내 총생산(GDP)의 7~8%, 싱가포르와 홍콩의 경우 15% 내외를 기록했다. 기업 자금조달 수단의 다양화·세계화로 조달비용 절감 및 글로벌 기관 및 자금과의 접점 확대로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정유신 기술경영대학원장은 우리나라도 금융허브를 추진했지만 성과가 좋지 않았다고 진단한다.
정 원장은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금융허브를 추진해왔지만 서울, 부산 국제금융센터지수 순위는 높지 않다"라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