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은 금융허브 효과를 이같이 밝혔다.
정유신 원장은 "글로벌 금융기관과 해외 자금의 유치로 고용 확대와 임금 및 자본소득 증가로 성장률 제고 효과가 있다"라며 "역사적으로 금융서비스가 발전한 도시와 국가가 세계 경제의 주도권을 장악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과 영국의 경우 뉴욕과 런던을 중심으로 한 금융허브의 부가가치가 국내 총생산(GDP)의 7~8%, 싱가포르와 홍콩의 경우 15% 내외를 기록했다. 기업 자금조달 수단의 다양화·세계화로 조달비용 절감 및 글로벌 기관 및 자금과의 접점 확대로 글로벌화를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정유신 기술경영대학원장은 우리나라도 금융허브를 추진했지만 성과가 좋지 않았다고 진단한다.
정 원장은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금융허브를 추진해왔지만 서울, 부산 국제금융센터지수 순위는 높지 않다"라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