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각)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키옥시아와 웨스턴디지털의 M&A가 속도를 내며 거래 구조를 확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의 합병설은 지난 1월부터 제기되어 왔다.
로이터통신은 “양사가 최근 메모리 수요 급감과 공급 과잉으로 매출에 큰 타격을 입게됨에 따라 합병을 서두르고 있다”라며 “다만, 아직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고, 세부 내용도 변경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키옥시아는 올해 1분기 1조7000억원의 영업손실을, 웨스턴디지털도 5969억원의 손실을 봤다. 이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낸드 수요 부진과 이에 따른 가격 하락세가 실적 부진으로 연결된 것이다.
두 기업의 합병이 급물살을 타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의 불안감도 가중되고 있다.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낸드 시장에서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절대우위를 점하고 있는데, 두 기업의 합병될 경우 낸드 1위 자리를 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키옥시아는 글로벌 낸드 시장 점유율 19.1%, 웨스턴디지털은 16.1%를 차지하고 있다. 두 회사의 점유율을 합치면 35.2%로 현재 시장 1위인 삼성전자(33.4%)를 뛰어넘는다. 점유율 18.5%를 차지하며 시장 2위를 차지하고 있는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는 3위로 밀려나게 된다.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의 주요 주주인 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키옥시아의 최대 주주는 베인캐피털이 주도한 한미일 투자자 컨소시엄이다. 과거 SK는 이 컨소시엄에 약 4조원을 투자한 바 있다.
앞서 박정호닫기

또 박 부회장 “우보통주로 전환하면 (우리가) 거의 40% 가까이 되는 주주”라며 "일본 정부가 웨스턴디지털이나 SK하이닉스(를 택하거나), 아니면 키옥시아 단독으로 가는 시나리오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가 올해 중요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