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칼텍스 미래형 주유소 ‘에너지플러스 허브’는 ‘모빌리티 인프라’와 ‘라이프 서비스’가 결합된 것이 골자다. 브랜드 론칭보다 약 1년 빠르게 운영된 이 주유소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2021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GS칼텍스는 2021년 기준 전국 77개 주유소 및 충전소 167면에 전기차 충전 시설을 보유 중이다.
올해 들어 에너지플러스 허브는 ‘주유소 물류 픽업센터’라는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2021년부터 인연을 맺은 ‘이케아’와의 협업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픽업센터 규모도 확대했다. 기존 픽업 센터인 서울(강남·성북), 경기(의정부·평택), 대전, 광주, 대구, 충남(천안), 강원(원주), 경남(창원)에 이어 서울(동작·영등포·은평), 경기(고양·구리·성남·수원), 인천(부평·연수) 등이 픽업센터로 변화돼 주요 시·도별 1개 이상 GS칼텍스 물류 픽업 센터를 확보했다. 2021년 10월 첫 손을 잡은 이후 약 2년 만에 전국적인 물류 거점으로 거듭났다.

허세홍 사장이 추진 중인 주유소의 변신은 허태수 GS그룹 회장이 강조한 친환경·디지털 미래성장과 궤를 같이한다. 허 회장은 취임 2년차인 지난해 5월 대규모 관련 투자를 발표했다. 당시 허 회장은 오는 2027년까지 51조 원을 투자, GS그룹의 친환경에너지 신기술 확보 등 신사업·벤처에 투자규모 48%에 이르는 10조 원을 집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열린 첫 벤처 네트워킹 행사 ‘GS Day’에서도 허 회장의 의지는 드러났다. 이 자리에 참석한 그는 “미래산업을 이끌어 갈 주인공은 신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을 추구하는 스타트업”이라며 공격적인 신사업 투자 의지를 드러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