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이효섭 자본硏 선임연구위원 “국민연금·KIC 해외투자 때 국내 운용사도 지원해야” [K-금융 글로벌 현재, 그리고 미래 ③ 끝]

기사입력 : 2023-05-02 0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연기금·국부펀드 동반 진출 유효
원화 국제화가 궁극적인 성공 열쇠

이효섭 자본硏 선임연구위원 “국민연금·KIC 해외투자 때 국내 운용사도 지원해야” [K-금융 글로벌 현재, 그리고 미래 ③ 끝]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한국금융 도약 키워드로 글로벌이 떠오르고 있다. 한국금융신문은 금융업권 별 해외진출 현황, 성과와 한계점을 살펴보고, K-금융 경쟁력을 키울 제언을 들어본다. 〈편집자 주〉

“국민연금 같은 연기금, 국부펀드인 한국투자공사(KIC)가 해외진출이나 글로벌 투자를 할 때, 국내 IB(투자은행)와 운용사가 동반 진출하고 의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외국환거래법 전면 개정을 통한 원화 국제화, 신(新) NCR(순자본비율) 제도 개선을 통한 해외투자 자산 위험값 합리화 등도 필요합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금융산업실장) 겸 서울IB포럼 사무국장(사진)은 1일 한국금융신문과 인터뷰에서 한국 금융투자업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기 위한 법/제도적 지원책에 대해 이같이 제언했다. 또 이 선임연구위원은 질적 성장 차원에서 단기 수수료 기반(Short-term Commission-based)에서 벗어나, 장기 성과연동 기반(Long-term Fee-based) 사업에 힘을 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웃바운드’ 제도 정비돼야…디지털 금융중심지 바람직
2023년은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가 도입된 지 10주년이 되는 해로 의미가 있다. 종투사 제도는 지난 2013년 증권사 대형화를 통해 모험자본 공급, 기업금융 활성화, 해외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첫 발을 뗐다.

현재 국내 9개 종투사가 지정됐고, 이 중 4개사는 발행어음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종투사 10주년 중간평가에 대해 이 선임연구위원은 “자기자본, 순영업이익의 큰 폭 성장을 이룬 것은 성과”라면서도 “부동산 금융 쏠림은 한계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 종투사 자기자본은 2011년 35조원에서 2022년 기준 77조원으로 몸집을 키워 220%나 급증했다. 순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1조7000억원에서 6조9000억원으로 무려 400%나 뛰었다.

다만 이 기간 동안 부동산 금융 중심으로 채무보증 규모도 6조원에서 45조원으로 급증했다. 정부가 초대형IB 육성을 위해 각종 규제 완화를 추진한 여파다. ELS(주가연계증권), DLS(파생결합증권) 헤지(hedge) 운용이 증가하고 금융 불안정성도 확대됐다.

금융수출이 화두가 되고 해외사업 수익성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편이라고 짚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해외 IB 대비해서 경쟁력 및 자본력 저하가 수익성 부진의 이유이며, 자금조달 비용도 높다”고 했다.

실제 한국은 현재 아시아 기준 ECM(주식자본시장), DCM(채권자본시장) 순위가 매우 낮은 형편이다. 자기자본 규모를 보면 아시아 10위권 밖에 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게 최우선 과제이고, 원화 국제화는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금융투자업의 해외진출을 뜻하는 ‘아웃바운드(Out-bound)’와 글로벌 투자자를 유치하는 ‘인바운드(In-bound)’ 양축 가운데 하나에 승부를 건다면, 이 선임연구위원은 “아웃바운드”를 꼽았다.

현재 금융중심지 순위에서 한국 서울은 10위~15위권 수준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인바운드는 디지털 금융중심지 전략이 바람직하다”며 “아웃바운드 성공 전략으로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단 해외진출을 해도 글로벌 사업에서 맞닥뜨리는 애로사항이 적지 않다고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딜 소싱(deal sourcing, 투자처발굴) 역량이 부족하다”며 “과거 딜소싱 경험이 부재한 부분이 유망한 딜소싱에 제한이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높은 자금조달 비용, 현지화 고객 접점 부족, 해외 당국 간 소통능력 부재와 신규사업 인가 부족, 해외법인 출자 관련 과거 높은 위험값 부과 등 규제가 사업장벽 요소라고 꼽았다.

자본력 싸움으로 불리는 IB에서 대형화는 주요한 과제로 지목된다. 다만 양적 성과 대비 IB 리그테이블의 부족함도 채워야 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종투사(3조원), 초대형IB(4조원), IMA(종합투자계좌)(8조원)의 기준이 되는 금액기준 상향 검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IMA 제도 정비를 통한 조달수단 다양화, 예금보험대상 확대를 통한 안정적 자금조달 수단 마련, 자기자본 규제 개선 등도 보완할 점이라고 했다.

글로벌IB로 나아가기 위해 장기 성과연동 기반 사업 위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프로젝트 금융 중심 운영자금 사업을 확대하려면 대규모의 인내 자본을 유치할 수 있어야 하며, 위험투자 실패 때 용인할 수 있는 사내 문화 형성이 중요하다”며 “임직원 KPI(핵심성과지표) 개선, 내부통제 강화 등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우리의 위치에 대해 이 선임연구위원은 “일부 대형 증권사, 운용사를 제외하고 글로벌 IB와 인적 네트워크는 매우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중장기 시계에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 국민연금, KIC를 통한 네크워크 형성 협력이 필요하고, 중기적으로는 정부와 해외 대기업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에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영어 등 언어장벽도 넘어야 하는 과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해외에서 현지 인력 채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아시아 진출을 위해 규제당국, 기업과의 관계금융에 능력이 있는 인재도 중요하다”고 제시했다.

“‘규제 아닌, 금융산업 육성 중심’ 인식전환 필요”
유력 글로벌 금융사처럼 중장기 측면 수익 사업을 키우기 위해 국가 별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홍콩 등은 고액자산가 대상 패밀리 오피스(Family office) 자산관리가 유효하다”며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은 생애주기 맞춤형 기업금융 서비스, 예컨대 혁신 벤처기업 시딩(고유재산) 투자 및 M&A 확대, IPO(기업공개) 주관 업무 등이 있다”고 제시했다.

해외 현지에 진출한 대기업과 관계형 금융 전략 중요성에도 힘을 실었다. 해외 현지 기업에게 맞춤형 자금공급 전략과 투자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다.

글로벌 IB, CB(상업은행) 대표 성공사례를 통해 벤치마킹 할 부분도 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골드만삭스의 경우 20~30년 전에 한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해 기업금융 서비스를 확대했고, 국내 기업 ECM, DCM, M&A 자문 등에 높은 경쟁력을 보유했다”며 “맥쿼리의 경우, 20년 전 한국 등 아시아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해서 인프라 및 대체투자에서 특화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예시했다. 또 UBS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통한 고액자산가 대상 자산관리를, HSBC의 M&A를 통한 중국 시장 선점 등도 주목할 사례로 꼽았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법/제도적 지원방안으로 이 선임연구위원은 “연기금, 국부펀드 해외투자 때 국내IB 동반진출 및 활용”을 지목했다. 이어 그는 “원화 국제화를 비롯 해외투자에 유리한 세제 개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해외투자자산 위험값 합리화, 해외법인 자금지원 유연화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금융의 삼성전자’가 등장해야 한다는 얘기가 꾸준히 나오는데 가운데 금융산업의 고부가 가치화가 중요하다고 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금융산업에 대해 규제 중심이 아닌, 산업 육성 중심으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며 “규제 방식도 네거티브(negative, 포괄주의) 방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STO(토큰증권), 핀테크 등 디지털 금융 수출이 필요하다”며 “아시아 빅3 IB 육성 목표 수립, 동북아 금융허브 활성화 목표 재추진 등도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정선은 기자기사 더보기

증권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