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메리츠증권이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증권(ETN) 시리즈에서 선도 행보를 보이고 있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증권(대표이사
최희문닫기
최희문기사 모아보기)은 미국채 10년물에 투자하는 ETN 4개 종목과 미국채 30년물에 투자하는 ETN 4개 종목을 상장해 운용 중이다.
구체적으로 미국채 10년물을 추종하는 ▲‘메리츠 미국채10년 ETN(H)’ ▲‘메리츠 레버리지 미국채10년 ETN(H)’ ▲‘메리츠 인버스 미국채10년 ETN(H)’ ▲‘메리츠 인버스 2X 미국채10년 ETN(H)’과, 미국채 30년물을 추종하는 ▲메리츠 미국채30년 ETN(H) ▲메리츠 레버리지 미국채30년 ETN(H) ▲메리츠 인버스 미국채30년 ETN(H) ▲메리츠 인버스 2X 미국채30년 ETN(H)이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 미국채 10년·30년 선물을 추종하는 종목은 이미 상장돼 있으나, 선물이 아닌 미국채 현물을 추종하고 레버리지 및 인버스2X 방식으로 투자할 수 있는 종목은 메리츠증권의 ETN이 최초 상장한 바 있다.
메리츠 미국채10년 ETN(H)은 대표적인 장기 투자상품으로 미국채 10년물 3개 종목으로 구성된 기초지수에 각각 1배와 2배, 그리고 인버스 형태로 투자가 가능하다.
메리츠 미국채30년 ETN(H)은 메리츠 미국채 10년 ETN(H) 시리즈 보다도 기초자산의 만기가 초장기로 긴 만큼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의 변화가 더욱 크다. 미국채 금리 변화 방향에 더 적극적으로 대비하려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또 환헤지(H)를 실시해 환율 변동 위험 없이 투자할 수 있다.
메리츠증권 측은 “인플레이션 우려로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의 변동성이 매우 커지고 있어 각각의 투자 포트폴리오마다 다른 방식의 대비가 필요하다”며 “미국채 대표 장기 상품인 10년·30년물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통해 해외 안전자산 비중 확대 또는 미국 금리 상승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