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회사가 동산인 미술품을 신탁 받아 처분까지 실행하는 상품은 국내에서 하나은행이 처음이다. 하나은행은 새로운 미술품 유통 비즈니스 모델인 미술품 신탁을 통해 안전한 작품 관리와 보관, 처분까지 가능해져 선도적인 맞춤형 아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하나은행 측은 “그동안 프라이빗한 영역으로 여겨졌던 미술품 시장과 트렌디하고 특화된 투자를 원하는 고객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번 미술품 신탁 출시를 필두로, 하나은행은 향후 작품 작가, 전시기획자, 위탁판매업자, 미술품 애호가 등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미술품 신탁 저변을 넓혀 아트뱅킹의 확장 모델로서 신탁을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하나은행은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올 상반기 중 은행권 최초로 조각투자 관련 ‘수익증권 발행신탁’도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향후 토큰증권 제도 시행 시 신탁형 유동화 역량을 최대한 발휘,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관련 회사 간 협업 시너지 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앞서 하나은행은 미술품 조각투자 플랫폼인 ‘테사’, 음악저작권 유통 플랫폼 ‘뮤직카우’ 등 주요 조각투자 플랫폼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신탁상품을 통한 고객 자산관리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다. ELT, 채권형신탁, ETF신탁, 재산신탁, 유언대용신탁인 리빙트러스트 등 다양한 신탁상품으로 구성된 자산관리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 중심의 신탁’으로 거듭난다는 방침이다.
김관주 기자 gjoo@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