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농협금융지주 2022년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농협생명은 2022년 순익 2170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수익을 달성했다. 농협생명은 2020년 691억원, 2021년 1657억원에 이어 올해는 2000억원을 넘기며 기록을 경신했다. 4분기에 신계약 미상각비 정산 등으로 -250억원 적자가 발생했지만 상반기까지 1534억원, 3분기 457억원 등 상반기 실적이 높게 나타나며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스마트페이NH종신보험'은 특약 '중증치매진단 및 급여치매CT·MRI보장특약(무)'로 배타적사용권을 획득했다. 이 특약은 업계 최초로 치매 원인감별검사를 위한 검진을 담보해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농협생명은 만기보유채권 전액이 모두 매도가능채권으로 분류되어있어 급격한 금리 상승이 이뤄졌던 작년 1분기에 평가 손실이 대거 발생, RBC비율이 131.55%까지 하락했다. 작년 말 기준 RBC비율은 145.61%다.
금융당국에서는 150% 유지를 권고하고 있다. 금리 상승이 계쏙되면서 회계상 자본잠식도 발생했다. 작년 1분기 2조3259억원이던 자본은 2분기 절반도 되지 않는 7724억원으로 떨어졌다가 3분기에는 -4820억원으로 자본 잠식 상태로 표기됐다. 4분기에는 개선돼 -1451억원을 기록했다.
농협생명 관계자는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해 올해 1월 2500억원 자본확충을 진행했다"라며 "IFRS4 기준 작년 3분기(-4820억원) 대비 작년 4분기에는 -1451억원으로 3369억원일 개선됐으며 IFRS17 하에서는 자본이 4조5000억원"이라고 말했다.
작년까지는 RBC비율 체제였으나 K-ICS로 제도가 바뀌는 만큼 윤해진 대표 올해 첫 과제는 IFRS17, K-ICS 연착륙이 될 수 밖에 없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