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해 동안 발생하는 산업재해 중 통상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업계가 해당 법안의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고, 실제로 중대재해법 시행 이후 관련 키워드로 가장 많이 언론에 오르내린 것 역시 건설업계였다. 하필이면 중대재해법 시행 직전에 터진 HDC현대산업개발 시공현장의 사고로 업계 분위기가 뒤숭숭했던 점도 건설업계를 둘러싼 비판적 여론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법상 안전보건 의무 주체는 대표이사로 사업 총괄 권한이나 책임을 지닌 이다. 이에 준해 안전보건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안전담당 이사)도 경영책임자의 범주에 들어간다. 안전담당 이사는 대표이사에 준해 안전보건에 관한 조직과 인력, 예산을 총괄하고 권한과 책임을 지니는 최종 결정권자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근절되지는 못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3분기 기준 건설현장 사망자 수는 253명으로, 지난 2021년 말 417명보다는 사망자 수가 줄었다. 그러나 여전히 50억원 미만의 소형 사업장일수록 사망사고 발생 비중이 높았고, 안전띠 사용 등의 조치만 있었다면 방지할 수 있었을 추락사고가 전체의 절반 이상(58.1%)을 차지하는 등 아쉬운 부분들이 드러났다.
이 같은 상황에서 친기업 성향을 띤 윤석열닫기

토론에 참석한 유현 남양건설 전무는 “아무리 고강도 안전 대책을 마련한다고 해도 사실은 건설업은 구조적으로 사고 제로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저희가 걱정하는 것은 근로자 부주의 등 사고 발생 원인을 제대로 따지지 않고 형사처벌, 벌금, 손해배상과 같은 과도한 입법으로 몰고 가는 것”이라는 생각을 밝힌 바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역시 제도 보완을 요청하고 나섰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금도 중소기업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몰라 답답해하며 언제든지 범법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떨고 있다”며 “처벌 수준은 세계 최고인데 누구 하나 법을 완벽히 지킬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는 현실에서 중소기업은 위축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호소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경제5단체장을 만나는 자리에서 중대재해법 완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원희룡닫기

그는 "구치소 대비용 대표를 세우는 기형적 형태를 낳는 게 이 법의 취지는 아니다"라며 "정부 부처 간 조율이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앞서서 말할 수는 없지만 사업장 단위, 공사 현장 단위로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중대재해법을 개선하는 방안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올해 막 시행을 알린 법안을 손바닥 뒤집듯 바꾸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반론도 나온다. 김희서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지난달 논평을 통해 "법 시행 이후에도 산재 사망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기업들은 여전히 오직 자신들의 책임 면제만 요구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집권여당이 기업의 대리인을 자처하고, 당정협의는 기업 민원을 논의하는 협의가 되니 어처구니없다"고 비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