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CJ 허민회, CGV서 ‘해결사’ 명성 이어갈까

기사입력 : 2022-10-24 0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이재현 회장 신임하는 그룹 재무통
실적 개선 중이나 주가는 여전히↓

▲ 허민회 CJ CGV 대표이미지 확대보기
▲ 허민회 CJ CGV 대표
[한국금융신문 나선혜 기자] 영화관은 코로나19 직격탄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곳 가운데 하나다. 폐쇄된 공간에서 여러 사람들이 팝콘을 먹는다는 것은, 코로나19 시기에 충분히 공포스러운 일이었다.

국내 영화관 1위 사업자 CJ CGV(대표 허민회, 이하 CGV)도 코로나 사태를 비껴갈 순 없었다.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2020년, CGV 매출은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영업이익도 2019년 1220억원에서 2020년 영업손실 3887억원을 기록했다.

도대체 탈출구를 찾을 수 없었다. CJ그룹이 비장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구원투수로 허민회 대표를 투입했다. 1986년 삼성그룹에 입사해 CJ제일제당 자금팀, CJ투자증권 등을 거치며 성장한 재무 전문가다. 악화일로에 있는 CGV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 실적을 개선하라는 미션이 허 대표에게 주어졌다.

그는 왜 이런 부담을 짊어져야 했을까. 역설적으로 그 만큼 이재현닫기이재현기사 모아보기 CJ 회장이 그를 신임하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허 대표는 2000년~2010년대 초 CJ그룹의 굵직굵직한 인수·합병(M&A)을 주도했다.

2008년 CJ투자증권을 현대중공업에 매각할 때 활약한 것을 비롯해 지난 2011년 대한통운 M&A TF팀을 이끌었다. 당시 롯데, 삼성-포스코, CJ그룹이 참여했던 대한통운 인수전에서 유력한 후보였던 삼성-포스코를 제치고 대한통운 인수에 성공했다.

CJ푸드빌 대표, CJ 사업총괄 부사장, CJ 경영총괄,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 등을 맡으며 그룹 내 주요 포스트를 두루 거쳤다. 지난 2013년 이재현 회장 구속 시 그룹 경영위원회를 도맡아 경영 전반을 관리했다.

2016년 이 회장이 그룹 계열사 등기 이사직에서 물러나고 대부분 자리를 허 대표가 대체했는데, 이는 CJ 오너일가가 얼마나 그를 신임하고 있는 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2017년 이 회장 경영 복귀 후 허 대표는 CJ오쇼핑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 때 CJ오쇼핑은 취급고 기준 업계 3위로 주저앉은 상황이었다. 이 회장이 그를 ‘오쇼핑 소방수’로 투입한 것이다. 허 대표는 저마진 상품 철수, 기획 상품 차별화 등 전략으로 CJ오쇼핑의 1위 탈환에 성공했다.

2018년 오쇼핑과 CJ ENM 합병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허 대표는 지난 2020년 말 정기인사에서 CGV 구원투수로 투입됐다. 코로나19 직격탄 맞아 재무 상황이 악화된 CGV를 살리는 게 그의 임무였다.

허 대표는 급한 불부터 껐다. CGV 재무 구조 개선을 의해 지주사인 CJ로부터 2000억원 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CJ올리브네트웍스 광고사업을 흡수하는 등 구조조정에도 힘썼다.

그가 그룹 경영 전반을 다뤄봤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비효율 영업점을 정리하는 작업도 벌였다. 지난 2020년부터 총 14개점을 철수했다.

코로나19 시기 ‘탈 영화관’ 전략은 불가피했다. 영화 외에 스포츠 중계, 오페라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감상하는 공간으로 CGV 정체성을 확장했다. 외부와 협업도 적극 추진했다.

최근 영화 관람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합한 월 구독 서비스를 론칭했다. 벅스와 함께 영화 관람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권도 출시했다.

CGV 관계자는 “현재 고객 성향을 살펴보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독권 사업을 이제 막 시작한 단계”라며 “향후 고객 니즈에 맞는 더 좋은 조건의 결합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자체 콘텐츠 강화 전략도 펼치고 있다. 최근 네이버웹툰과 협업해 세계 최초로 웹툰을 4DX로 개봉하며 이목을 끌었다.

이런 노력으로 CGV 체질 개선은 어느 정도 이뤄졌다. CGV는 지난해 매출 7363억원, 영업손실 2411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 와중에도 매출이 전년 대비 26% 이상 성장했고, 영업손실도 전년보다 1000억원 이상 줄였다.

올들어 엔데믹 상황이 본격화하면서 실적은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다. 지난 2분기 영업손실은 1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7% 급감했다.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96.9% 증가한 3184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여전히 만족할 만한 성적표는 아니다. 코로나19 거리두기 완화 조짐에도 불구하고 관객몰이에 성공한 대형 히트작이 등장하지 않았고 여전히 넷플릭스 등 OTT 강세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4년간 주가는 계속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그동안 CJ 해결사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허 대표가 이런 악재를 극복해내고 CGV 부활을 성공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나선혜 기자기사 더보기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