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금융감독원이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증권 등 카카오 금융계열사의 소비자 피해에 대한 신속 보상을 지도하고 나섰다.
화재 이후 곧바로 재해복구센터를 가동해 금융거래 전산처리 자체는 큰 문제가 나오지 않았으나, 일부 송금 및 결제 등 금융서비스가 상당시간 장애가 발생한 원인 규명 및 비상대응계획 가동실태 등을 면밀히 살펴보기로 했다.
금감원(원장
이복현닫기
이복현기사 모아보기)은 16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카카오 전산센터 화재 관련 전자금융서비스 복구 현황'을 발표했다.
금감원이 현황을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대표
윤호영닫기
윤호영기사 모아보기)는 전산센터가 별도 위치(상암)에 소재하고 있어 금번 화재피해로 인한 전산상 직접 손상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거래에 있어서도 계좌이체 송금은 계속 정상 가동되고 있으며,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이체(1일 100만원 한도)가 일부 작동하지 않음에 따라 계좌이체 방식으로 송금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카카오페이(대표
신원근닫기
신원근기사 모아보기)는 판교에 소재한 주전산센터에 화재 피해가 발생했으나, 곧바로 재해복구센터(가산디지털단지) 전산망으로 연계함으로써 금융거래가 가능토록 조치했다. 화재사고 이후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전날 오후 7시부터 대부분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정상화되어 현재는 송금, 결제 등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카카오톡과 연계된 인증서비스, 상담서비스 등은 현재 복구 작업중에 있다. 송금 알림톡 등은 현재 작동하지 않고 있다.
카카오페이증권(공동대표 김대홍 이승효)은 판교에 위치한 일부 주전산센터 관련 데이터 처리를 즉시 재해복구센터(가산디지털단지)로 이관했으며, 고객계정은 클라우드서비스로 관리되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제시했다.
금감원은 카카오 그룹 소속 금융회사들이 이번 화재로 인한 금융소비자 피해현황 파악을 위한 피해신고 접수를 즉시 가동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신고 접수된 피해 사례에 대해서는 합당한 보상이 적시에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전산센터 화재사고 발생 후 카카오 금융계열사가 비상대응계획에 맞춰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졌는지 점검하고 필요시 검사도 실시할 방침이라고 제시했다.
금감원은 "금감원은 전체 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전산센터 화재 발생시 대응계획을 재점검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며 "특히 자체 시스템이 아닌 외부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의 비상운영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토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