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책에서 정부는 “안정적 공급기반을 위해 공공택지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다”며, 2023년까지 15만호 내외의 신규택지 후보지를 지자체 협의를 거쳐 순차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신도시 개발이 개발편의에 따라 입지가 선정되고 입지발표 후 교통계획이 수립됐던 방식에서 벗어나, 철도역 500m~1km 내 지역 위주로 입지를 선정함으로써 선정 단계부터 교통계획과 연계한 ‘콤팩트 시티(Compact-city)’ 컨셉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격자형으로 구성되던 기존 신도시와는 달리 역 중심의 방사형 도시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택지조성에 속도를 붙이기 위해 정부는 공공택지사업 수반 광역교통사업·훼손지복구사업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추진한다. 또 지방공기업 타당성조사는 주택사업계획 수립단계에서 면제된다.
그간 신도시 개발이 토지보상 문제로 홍역을 치렀던 점을 감안, 토지 협의양도시 특별공급을 GB 이외 지구까지 확대하고 도심 쪽방사업 토지주에는 현물보상을 적용토록 한다. 이와 함께 기존 국공유지 추진사업 보완을 위해 개발밀도 조정(대체물량 확보), 공급유형 다양화(공공분양 + 선호시설 복합개발 등), 시설이전 재추진 등 보완방안도 함께 마련된다.
새로 조성될 택지가 경쟁력 있는 주거환경을 갖출 수 있도록 우수한 교육여건 및 기업유치를 촉진하는 한편, 일부 밀도상향 및 용도변경을 통해 주택공급을 확대(+1~2만호, 지구계획 변경 8월~)하고, GTX 역세권에 공공준주택 4천호를 시범추진한다.
향후 정부는 Compact-city 등의 입지 및 개발구상을 순차적으로 발표한다. 이르면 2022년 10월경 베일을 벗을 이 구상은 발표 즉시 인·허가 절차에 착수해 2027년 이내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