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은 김 총괄대표 선임 당시 “김상현 총괄대표는 국내외에서 쌓은 전문성과 이커머스 경험을 바탕으로 롯데의 유통사업에 혁신과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총괄대표는 ‘글로벌 유통 전문가’로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1986년 미국 P&G로 입사해 한국 P&G 대표, 동남아시아 총괄사장, 미국P&G 신규사업 부사장을 거쳤다. 이후 홈플러스 부회장을 지냈으며 2018년부터 DFI 리테일그룹의 동남아시아 유통 총괄대표, H&B 총괄대표를 역임한 전문 경영인이다.
선임 직후 롯데 사내 게시판에 "잘해온 것은 더욱 강화하고, 방법을 알고는 있지만 미처 실행하지 못한 것은 신속하게 실행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해결책을 찾는데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고 불필요한 허례허식은 과감하게 버리겠다"고 강조한 김 총괄대표. 실제로 그는 취임 후 허례허식을 버리고 직접 소통하며 기업 내 변화를 이끌고 있다.
이를 위해 김 총괄대표는 올해 2월 취임 후 전국 점포를 방문하며 임직원들과 만났다. 또한 ‘렛츠(Let’s) 샘물’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직원들과 소통하고 있다. ‘렛츠 샘물’은 ‘샘(Sam)에게 물어보세요’라는 의미를 담은 직원 소통 프로그램이며 샘(Sam)은 김 총괄대표의 영어 이름이다. 올해 1월 직원들에게 "본인을 샘(Sam)이라고 편하게 불러 달라"고 부탁하고 직급을 없앤 바 있다.
이처럼 현장을 뛰며 직원들과 소통하고 있는 김 총괄대표는 실적으로 변화를 증명했다. 오린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롯데쇼핑 2분기 실적에 대해 “당사 추정치 및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시장의 예상을 깬 실적을 기록했지만 김 총괄대표는 지난달 사내 게시판에 “롯데가 최근 몇 년간 고전했다”고 자평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문화·비즈니스·포트폴리오 3가지 혁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김 총괄대표는 "롯데가 '유통 1번지'가 되어야 한다“며 ”'고객들의 첫 번째 쇼핑 목적지'“라는 롯데 유통군의 새로운 비전을 알렸다.
롯데그룹이 지난 5월 밝힌 37조원의 대규모 그룹 투자 계획에서 유통군HQ의 투자 비중은 이 중 약 22%에 달하는 8조1000억원이다. 김 총괄사장은 8조원이 넘는 투자금을 '유통 1번지' 실현을 위해 지점 리뉴얼과 신규 점포 개발, 고용 창출 등에 집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쇼핑은 “상반기 기준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9년 이후 처음”이라며 “최근 수년간 지속됐던 실적 부진의 고리를 끊어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김상현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부회장이 밝힌 '고객의 첫 번째 쇼핑 목적지'라는 비전 달성의 초석도 다졌다”고 말했다.
이어 “롯데쇼핑은 그동안의 바닥 다지기를 끝내고 다시 유통 1번지로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향후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