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업계, 자금조달 · 레버리지 배율 규제 완화 요청
이 원장 "겸영 · 부수업무 확대 금융위에 건의할 것"
이미지 확대보기5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전사 CEO-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의 간담회에서 한 여전사 대표가 이 금감원장의 모두발언을 들으며 메모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금융신문
[한국금융신문 신혜주 기자]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자금조달 여력이 점점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전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에 자금조달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겸영·부수업무 범위 역시 하루빨리 대폭 확대해 빅테크와의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달라고도 요청했다.
5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여신금융협회에서 여전사 CEO들과 이복현 금감원장이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는 통상 첫 상견례 자리에서 덕담을 주고받는 것과 달리, 각 사별 발언시간을 가지면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여전업계는 해외 차입 여건이 나아질 수 있도록 원화용도의 외화차입 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요청했다.
올해 들어 기준금리 인상과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우려 등으로 국내 자금 조달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카드사와 캐피탈사가 해외 조달을 검토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를 가로막는 금융당국의 직간접적인 규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레버리지 배율 완화에 대한 이야기도 오고갔다. 업계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금을 많이 확보해야 하는데, 관련 자금이 자산으로 잡혀 레버리지 배율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여전사 대표는 "레버리지 배율의 전면적인 개편을 요청한게 아니다"라며 "현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레버리지 배율에 대한 규제 완화를 건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레버리지 배율은 자산을 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자산에 대한 자기자본의 손실완충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금융당국은 여전사의 과도한 외형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레버리지 배율 한도를 10으로 규제했다.
아울러 빅테크와의 공정 경쟁을 위해 규제를 완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 빅테크와의 관계에서 동일한 규제 원칙을 준수해 형평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복현 금감원장은 여전업계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제안했다. 이 원장은 "여전업계가 새 성장동력을 발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겸영·부수업무 및 취급가능 업무를 금융업과 연관된 사업에 대해서는 금융위원회에 확대 건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