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김경찬 기자] 인터넷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저축은행으로 계좌이체를 하는 경우 동일하게 ‘저축은행’으로만 표시됐지만 앞으로 ‘SBI저축은행’이나 ‘OK저축은행’ 등 ‘○○저축은행’으로 개별 저축은행 명칭이 표시된다.
저축은행중앙회(회장 오화경닫기오화경기사 모아보기)는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타금융권과 함께 전자금융 이체 거래시 개별저축은행 명칭을 표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기존 저축은행으로 이체시 ‘저축은행’으로만 표시되어 정확한 이체여부에 대한 고객 불안감과 착오송금 우려 등이 지속 제기되어 왔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권이 동일한 금융기관 공동코드(050)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별저축은행 명칭을 구분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기존의 공동코드 대신 개별저축은행 명칭 정보가 있는 점별코드를 통해 명칭을 식별하여 고객이 보는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관계기관, 시중은행 등과 협의해왔다. 협의에 따라 계좌번호를 넣고 예금주를 조회하는 이체 전 단계와 이체완료 직후 단계에서 개별 명칭을 표시키로 하였다.
SB톡톡플러스 등 저축은행중앙회 통합 비대면 채널에서는 지난 21일부터 저축은행 간 이체시 개별 저축은행의 명칭을 표시하고 있으며, 자체 전산과 자체 앱을 보유한 저축은행은 오는 9월말까지 전산개발을 완료하여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은행과 증권사 등 전자금융 참가기관 대부분은 올해까지 자체 전산개발 일정에 따라 개별 저축은행의 명칭을 구현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번 전자금융 이체 거래시 개별저축은행 명칭 표시 사업 추진이 완료되면 착오송금 등 소비자 불편을 해소하고, 저축은행 명칭 홍보에도 도움이 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송금인이 이체 시 수취인에게 계좌번호 등을 다시 확인하거나 이체후 수취여부를 문의하는 등 이체 정확성을 재차 확인하는 불편이 해소되고 금융기관으로의 관련 민원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체하기 전에 저축은행 명칭 확인을 통해 착오송금을 미연에 예방하여 반환청구 소송 비용 등 금융소비자의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사전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된다. 아울러 이체 시 은행업권과 같이 개별 명칭을 표시하여 개별 저축은행 인지도 향상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