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장,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CEO 간담회
"SPC의 공동투자 방법 개선 등 PEF 해외진출 지원"
"과도한 인력 구조조정·수수료 인상 고민해야" 당부
이미지 확대보기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CEO(최고경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제공= 금융감독원(2022.02.09)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정은보닫기정은보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은 기관전용 사모펀드(PEF) 운용사 CEO(최고경영자)들과 만나 "금감원은 PEF산업의 발전을 위해 최대한 자율적으로 사모답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제시했다.
정 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CEO 간담회를 열고 향후 감독·검사 방향을 설명하고 최근 PEF 업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소통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유니슨캐피탈 김수민 대표, 한앤컴퍼니 김경구 부사장, IMM프라이빗에쿼티 김영호 대표, MBK파트너스 박태현 대표, H&Q코리아파트너스 임유철 대표, 스틱인베스트먼트 채진호 대표 등 총 6개사가 참석했다.
정 원장은 "우리 PEF 제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해외 PEF에 대항하고 국내 자본 육성과 국부의 유출 방지를 위해 도입됐다"며 "지금까지는 경영참여 목적의 지분투자만이 가능했으나 지난 2021년 10월 사모펀드 제도개편으로 메자닌, 대출 등 다양한 운용전략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짚었다.
국내 PEF들도 그간 쌓아온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 원장은 "PEF가 다양한 해외 투자대상을 발굴하여 고수익 창출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해 주시기 바란다"며 "금감원도 투자목적회사(SPC)의 공동투자 방법을 개선하는 등 PEF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제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2004년 간투법 개정으로 출범한 국내 PEF는 그동안 국내기업의 성장지원, 경영개선, 구조조정을 통해 국내 자본시장의 중심축으로 성장했다. 출범 당시 2개 펀드, 출자약정액 4000억원에서 2021년 9월 말 기준 981개 펀드, 약정액 108조원이 됐다.
2021년 PEF는 국내 주요 M&A(인수합병) 상위 20건 중 17건(85%)에 참여하며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또 크래프톤, 하이브의 사례와 같이 IPO와 블록딜 등을 통해 25조원의 투자금을 회수했다.
과거에 해외 PEF가 소위 ‘기업사냥꾼’으로 비난받기도 했으나 현재 국내 PEF들은 일시적으로 곤경에 처한 기업의 구원투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의 우려가 아직 남아있다는 점을 지목했다.
정 원장은 "현재 미국 금리인상, 코로나 지속 등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수기업에 대한 과도한 인력 구조조정, 수익모델 위주의 과도한 수수료 인상 등 서민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같이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