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원장은 9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 CEO 간담회를 열고 향후 감독·검사 방향을 설명하고 최근 PEF 업계의 주요 현안에 대해 소통했다.
정 원장은 "우리 PEF 제도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해외 PEF에 대항하고 국내 자본 육성과 국부의 유출 방지를 위해 도입됐다"며 "지금까지는 경영참여 목적의 지분투자만이 가능했으나 지난 2021년 10월 사모펀드 제도개편으로 메자닌, 대출 등 다양한 운용전략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짚었다.
국내 PEF들도 그간 쌓아온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 원장은 "PEF가 다양한 해외 투자대상을 발굴하여 고수익 창출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협력해 주시기 바란다"며 "금감원도 투자목적회사(SPC)의 공동투자 방법을 개선하는 등 PEF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제시했다.

2021년 PEF는 국내 주요 M&A(인수합병) 상위 20건 중 17건(85%)에 참여하며 시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다. 또 크래프톤, 하이브의 사례와 같이 IPO와 블록딜 등을 통해 25조원의 투자금을 회수했다.
과거에 해외 PEF가 소위 ‘기업사냥꾼’으로 비난받기도 했으나 현재 국내 PEF들은 일시적으로 곤경에 처한 기업의 구원투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사모펀드 전반에 대한 불신의 우려가 아직 남아있다는 점을 지목했다.
정 원장은 "현재 미국 금리인상, 코로나 지속 등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인수기업에 대한 과도한 인력 구조조정, 수익모델 위주의 과도한 수수료 인상 등 서민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같이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