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조원태기사 모아보기)과 아시아나항공(대표이사 정성권)의 기업 결합을 조건부로 승인했다. 국내의 국적 항공사 2개를 품게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사진)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재무건전성, LCC(저비용항공)사 운수권 확보 여부 등 경영 개선 과제도 안게돼 내년 행보가 주목된다.공정위는 29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일부 슬롯(시간당 가능한 비행기 이착률 횟수) 반납, 운수권 재배분 등을 이행하는 조건으로 양사 결합을 승인키로 잠정 결론 내렸다. 해당 심의는 내년 1월 전원회의를 열어 시작한다.
기업결합에 대한 조건을 달은 공정위의 결정으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사진)은 재무건전성 개선과 운수권 재분배라는 우선 과제가 생겼다. 공정위의 조건을 수용할 경우 대한·아시아나항공 운수권 재분배의 효과는 외국항공사가 얻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업계 전망이다. 운수권 재분배 과정에서 경영 환경이 어려운 국내 LCC가 해당 노선을 운영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노선 재분배가 효과적이지 않을 경우 해당 노선의운임인상 제한 등 안전장치를 마련했다고 밝혔지만, 현황을 고려할 때 외항사가 이득을 볼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지 확대보기아시아나항공의 재무건전성 악화일로도 조원태 회장의 골머리를 앓게하는 요소다. 유상증자를 통해 점차 부채비율이 개선되고 있는 대한항공과 달리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최근 3700%에 육박했다. 올해 3분기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3668%로 전분기 2131% 대비 1500%포인트 급상승했다. 부채규모도 1분기 11조9801억원에서 3분기 12조792억원으로 소폭 늘어났다. 대한항공과의 합병이 결정됐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여전히 이어지면서 조원태 회장이 떠안은 과제는 산적해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DCM] LS일렉트릭, 8개월 만에 또 공모채…전력기기 호황에 '조달 자신감'](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setimgmake.php?pp=006&w=110&h=79&m=5&simg=20251022110352064680d260cda75106101478.jpg&nmt=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