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종규닫기

윤 회장이 참석한 이날 회의는 그간 NZBA 활동 성과를 평가하고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은행의 역할 등 내년 NZBA 전략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드리 최 모건스탠리의 지속가능투자부문 대표(CEO), 필립 하임 라 방크 포스탈 회장 등 5개 대륙을 대표하는 글로벌 은행 최고경영자급 12명이 모여 ‘넷제로 이행을 위한 전략 방안’ 등을 논의했다.
논의에 앞서 이뤄진 기조 연설에서 미국 영란은행 총재이자 UN 기후 특사인 ‘마크 카니’는 “NZBA가 금융산업 대표로서 민간 부문 개척자 역할을 잘 수행해 왔다”며 “이제는 구체적인 이행을 위한 모범 사례(Best Practice)를 발굴하고 확산하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조 연설에 이어 ‘NZBA의 전략 및 활동 계획’, ‘NZBA의 전략 이행 방안’ 등으로 진행된 주제별 섹션에서 참가자들은 저탄소 경제로 이행을 위한 NZBA와 은행 역할, 회원 은행에 대한 NZBA 위상과 향후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윤종규 회장은 넷제로 이행 방안으로 ▲중소기업 고객의 탄소 배출량 공시 ▲사업모델 조정 ▲친환경 도입을 위한 컨설팅‧교육 지원 ▲탄소 배출 감축‧포집 기술에 대한 투자 확대 ▲넷제로 지식 중심으로서의 NZBA 역할 강화 등을 제시했다.
NZBA는 이날 논의를 바탕으로 신흥시장을 포함한 각국 정부와 이해관계자들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다양한 활동 가이드라인을 내년 중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 11월 이집트에서 개최 예정인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7)’에서도 NZBA 역할과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KB금융 관계자는 “KB금융은 NZBA 운영위원회 대표은행으로 선출된 뒤 각 대륙을 대표하는 12개 글로벌 금융사들과 정기적으로 탄소중립 확산 관련 이행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에 대한 지지와 참여 유도 방안을 논의해 왔다”며 “이번 자리는 NZBA 창설 이후 첫 최고경영자 회의로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데 있어 은행 역할이 강조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KB금융은 지난 7월 NZBA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운영위원회’ 아시아-태평양 대표로 선출돼 스탠다드 차타드,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각 대륙을 대표하는 금융사들과 은행들의 탄소중립 이행 계획 수립과 글로벌 정책 참여 유도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