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1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저축은행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해 향후 감독업무 방향을 설명하고 최근 저축은행권 주요 현안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은보 원장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누적된 가계부채와 금리상승이 맞물려 급격한 자산가격 조정을 동반할 수 있다"며 "저축은행은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로 국민경제 큰 부담을 준 사례가 있는 만큼 사전적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 감독·검사 업무 수행에 대해서는 "위기상황 분석을 강화하고 리스크 취약부문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저축은행별 검사주기와 범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건전성 감독에 있어 "대형·중소형 저축은행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저축은행 자산규모에 맞는 차등화된 감독체계를 도입하겠다"며 "대형 저축은행에 대해 자본비율 선진화 등 건전성 규제를 단계적으로 고도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은보 원장은 저축은행권을 위한 지원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정 원장은 "저축은행의 관계형 금융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지역 저신용 유망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며 "타 업권과의 규제 형평성을 감안해 대출 컨소시엄 참여를 어렵게 하는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저축은행 이용자의 선택권 확대와 금융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해 저축은행중앙회의 금융플랫폼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소비자의 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대안책도 제시했다. 정은보 원장은 "금리상승기에 대출금리가 높아지고 예대금리차도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금리산정체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금리인하요구권도 활성화 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