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민연금공단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3년간 국민연금 노후긴급자금(실버론) 대출현황’에 따르면, 2020년 실버론 대출액 493억9500만원 중, 전·월세 보증금 용도로만 369억6800만원이 지급됐다. 연금 대출의 74.8%가 부족한 집세를 충당하는데 활용된 것이다.
이같은 추세는 2019년에도 유사했다. 전체 599억2500만원 중 450억4800만원(75.2%)가 전·월세 보증금 용도로 대출됐다.
2018년에는 전체 대출액 323억2600만원 중 70.3%인 227억1200만원이 전·월세 자금 용도였다. 반면 의료비 비중은 2018년 26.8%에서 2019년 23.8%, 2020년 22.7%로 감소했다.
2021년의 경우, 상반기(6월) 현재 291억6500만원의 실버론이 실행됐고, 이 중 68.5%인 199억8700만원이 전·월세 보증금으로 대출됐다.
김상훈 의원은 가을 전세철이 돌아오고 임대차 3법의 효과가 맞물리면, 전월세 용도의 대출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상훈 의원은 "국민연금을 담보 삼아 전세금을 마련하면, 어르신 가구의 노후는 매우 취약해질 수 밖에 없다"며 "연금을 주거비에 저당 잡힌 수급자에 대한 선제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