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김세중 보험연구원 연구위원과 김유미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변액보험 해지율 상승과 시사점' KIRI 리포트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김세중 연구위원과 김유미 연구원은 이에 대해 "국내 주식형 펀드 월별 해지규모 또한 2021년 1월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고 같은 기간 주식시장 고객예탁금은 68조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점으로 볼 때, 주식 직접투자를 위한 자금 이동도 저축성 변액보험 해지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2020년 8월에 고객예탁금이 전월 48조원에서 61조원으로 급증하면서 변액저축성보험 해지 건수 및 국내 주식형 펀드 해지규모가 모두 상승했으며, 주식 직접투자 수요 증가와 펀드 및 변액저축성보험 해지는 유사한 움직임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연령 측면에서 봤을 때, 특히 40대 이상의 해지 관심이 두드러졌다. 네이버 검색량 통계 시스템인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해 최근 1년간 '변액보험 해지' 검색량 추이를 20~30대, 40대 이상으로 구분해 살펴본 결과, 2020년 12월과 2021년 1월, 40대 이상에서 변액보험 해지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세중 연구위원과 김유미 연구원은 "40대 이상의 변액보험 해지 관심 증가는 상대적으로 가입 기간이 긴 가입자들의 이탈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동안 변액보험의 성과가 개선된 후 수익을 확정하려는 동기 또한 해지의 원인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들은 "변액연금의 경우 최저사망보증(GMDB), 최저적립금보증(GMAB) 등 다양한 보증옵션에 대한 추가 수수료가 부가되고 이들 옵션을 통해 사망 시 또는 만기 시 적립금 손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 투자수단보다는 장기 노후소득 보장수단으로 적합한 상품이다"라고 덧붙였다.
김세중 연구위원과 김유미 연구원은 "생명보험회사들은 변액보험 가입자의 장기유지를 위해 수익률 개선 등 서비스를 개선해 소비자 만족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금융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변액보험의 해지가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으나, 변액보험 수수료 구조와 사망보장 및 노후소득보장 등 일반적인 펀드와 다른 특성을 감안한다면 장기유지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보사들은 수수료 구조 다양화, 투자가능 펀드 확대 및 능동적 펀드 운용 유도 등 서비스 강화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