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연기금 자산배분을 기반으로 팽창하는 퇴직연금 시장 선점을 다투고 있다.
목표수익률에 맞춰 중장기 자산배분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을 조절해 변동성을 관리한다. 채권과 고배당주 등 인컴자산에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 흐름을 추구하고, 중장기적으로 리츠, 인프라 투자로 초과수익을 기대한다. 한화자산운용 측은 "자산배분 역량을 모은 펀드로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이나 장기투자 목적의 개인연금 상품으로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지난 5월 '미래에셋OCIO-DB표준형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을 설정했다. 퇴직부채를 고려하고 금융시장을 분석해 LMP(부채매칭포트폴리오)와 RSP(수익추구포트폴리오), 부동산인프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모자형 구조로 9개 모펀드에 분산투자한다.

KB자산운용은 지난 1월 'KB타겟리턴OCIO증권투자신탁(혼합-재간접형)' 펀드 2종(안정형·성장형)을 출시했다. 개별 목표 수익률을 설정해 ETF와 액티브 펀드를 활용해 전 세계 주식, 채권 및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한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연기금과 장기 투자 상품인 퇴직연금의 투자 목적이 같다는 점에 착안한 공모펀드가 줄을 잇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로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향후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도입될 경우에도 OCIO 펀드가 효율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