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세원 연구원은 "민간기업들의 신재생에너지 자산거래 참여는 REC(Renewable Energy Credit) 매입이나 세제혜택(ITC, Investment Tax Credit) 수혜 목적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ESG 및 RE100(100% 신재생에너지 사용) 경영 등으로 신재생 전력매입 주체가 공공에서 민간 기업으로 옮겨가고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PPA(Power Purchase Agreement)는 직접 물리적 PPA, 간접 물리적 PPA(Green Tariff), 가상/재무적 PPA(VPPA) 중 전력 파생거래의 일종이며 유연성이 장점인 VPPA 시장이 빠르게 커졌다.
한 연구원은 그러나 "VPPA는 베이시스 리스크와 출력제약 리스크에 대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 연구원은 "매입약정은 전통적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많은 IT 산업이 주도했으나 2020년에는 팬데믹에 의한 양극화 결과 제조업이 총 2.5GW로 전년대비 2배를 초과했다"면서 "2019년까지 VPPA계약이 PPA의 85%를 점유하는 가운데 Green Tariff 계약이 빠르게 증가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최근까지 신재생 PPA는 풍력자원이 풍부한 ERCOT과 데이터센터가 많은 PJM 시장에서 주로 체결됐다"면서 "전원별로는 도매경쟁시장에 다수 분포한 풍력자산과의 약정이 3/4을 차지했다"고 지적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