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약 3조원의 수주 잭팟을 터트리며 순항하고 있는 정진택닫기

정진택 사장은 올해 외부 시황에 기대지 않고 생존이 가능한 조선사로 탈바꿈하기 위해 IoT 역량 강화를 강조한다. 저성장이 뉴 노멀이된 시대에 자율운항 등 IoT 관련 기술 개발 등을 수행, 독자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다.
이런 의지는 신년사에서부터 잘 드러났다. 정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생존을 위한 적극적인 변화와 실천, 기술 격차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가 필요하다”며 “IoT 기술 등을 기반으로 설계에서 구매, 생산에 이르는 전 부문의 최적화를 수행, 원가 개선으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정 사장은 ‘스마트 SHI(Samsung Heavy Industries)’를 활용할 계획이다. 지난 2019년 설립한 스마트 SHI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수립하고 스마트 생산, 스마트 설계, 스마트 워크 등 3대 디지털 혁신 과제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시스템 구축과 AR 솔루션 개발이다.
개인 스마트폰을 통해 3D 모델과 설계 도면 확인은 물론 AR 기술을 결합해 작업 대상 영역에 3D 모델을 겹쳐 가시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직관적인 작업 수행·검사가 가능하다고 삼성중공업은 설명한다.
이뿐만 아니라 3D 설계에 대한 선급 인증 기반을 마련했다. 미국 ABS선급과 업계 최초로 2D 종이 도면 없이 디지털 형태의 3D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 검증과 승인 업무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인증 프로세스도 구축했다.
IoT·AI 기반으로 생산 체계 지능화 또한 추구한다. 블록 조립공장에 자동 용접로봇 적용 확대, 실시간 용접 실적과 품질 데이터를 관리하는 통합 관제로 생산 효율 향상에 힘쓰고 있다.
조선소 내 중장비 위치와 작업 상태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적재적소에 실시간으로 배치하는 등 자원 운용 효율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RPA 기술을 통한 스마트 워크 실현에 역점을 두고 있다. 올해 하반기까지 챗봇과 딥러닝에 기반한 이미지 인식, 텍스트 분석 등의 AI·로봇 프로세스 자동화(삼성SDS Brity RPA) 기술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장비 메이커로부터 접수되는 수많은 도면과 문서 내용을 표준화된 형태로의 자동 변환할 수 있다. 발주처의 복잡한 입찰제안요청서(ITT)를 스스로 검토하는 등 판단·심사·평가와 같이 한 차원 높은 복합 업무 영역까지 자동화를 확대할 방침이다.
정진택 사장은 “이제는 소프트파워가 최고의 경쟁력”이라며 “제조 설비와 생산 정보, 사람 간 유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능화된 스마트 야드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중공업의 IoT 역량 강화 행보는 지난달 성과를 이뤘다. 글로벌 IT 미디어·리서치 전문기관인 IDG(International Data Group)가 주관한 2021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100 어워즈’를 수상한 것. CIO 100 어워즈는 IT기술 기반, 창의적 혁신 성과가 탁월한 100개 글로벌 기업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국내 조선해양 산업 부문에서는 삼성중공업이 처음으로 선정됐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조선업은 복잡한 제조 프로세스를 거쳐 비규격화된 대형 제품을 만드는 산업 특성상 운영 자동화에 대한 제약이 많다”며 “‘선박 건조 공정 디지털화를 통한 스마트 야드 전략’을 바탕으로 설계·구매·생산 등 전 업무 영역에 걸쳐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과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등 다수의 디지털 기술을 적용, 업무 혁신을 이룩한 점을 인정받아 이번에 수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3월 말, 2조8000억원 수주 ‘잭팟’
수주 역시 약 3조원의 잭팟을 터트렸다.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26일 파나마 지역 선주로부터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20척을 총 2조8000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인도기간은 오는 2025년 6월까지다.
이번에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컨테이너선은 연료 절감기술(Energy Saving Device)과 차세대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이 탑재됐다.
파나마 수주를 포함해 삼성중공업은 올해 들어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3월 말까지 총 42척, 51억달러(5조7000억원) 수주에 성공, 올해 목표 78억달러의 65%를 달성했다. 지난해 수주기록인 55억달러를 사실상 올해 2분기에 가뿐히 넘길 것으로 보인다.
수주잔고 또한 지난 5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3월 말 현재 삼성중공업의 수주잔고는 258억달러다. 지난 2017년 208억달러였던 삼성중공업의 수주잔고는 2018년 192억달러, 2019년 230억달러, 지난해 222억달러의 추이를 보였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올해 들어 해상 물동량 회복, 운임 인상 등 글로벌 발주 환경이 호전되면서 컨테이너선과 원유운반선을 중심으로 수주를 이어가고 있다”며 “확고한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수주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영국의 조선해양시황분석 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1만2000TEU급 이상(Neo-Panamax급) 대형 컨테이너선 총 66척 중 삼성중공업이 절반(34척, 52%)을 수주해 시장점유율 1위를 나타냈다”며 “지난 2019년 이후 3년간 실적 또한 삼성중공업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40척을 수주하는 등 대형 컨테이너선 분야에서 뛰어난 시장 장악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