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은성수 금융위원장이 6일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열린 디지털분야 뉴딜 투자 설명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2020.11.06)
[한국금융신문 한아란 기자]
은성수닫기은성수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이 내년에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금융정책을 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펼쳤던 금융지원 조치를 충격 없이 거둬들일 방안을 내달부터 검토하겠다고도 했다. 부채증가와 부동산 가격 상승은 세밀히 점검하면서 대처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은 위원장은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된 출입기자단 송년 간담회에서 “만기연장 및 이자상환유예, 금융규제 유연화 등 금융지원 조치의 연착륙 방안은 코로나19 진행상황을 보면서 내년 1월부터 금융권‧산업계‧전문가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금융정책 방향에 대해 “내년에도 첫 번째 화두는 코로나19 위기극복이 아닐까 싶다”며 “취약 부분에 대한 원활한 금융지원, 그 과정에서 확대된 금융 리스크의 관리, 확장적 금융정책의 연착륙 등 세 가지가 조화롭게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은 위원장은 “우선 코로나19 재확산이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175조원+α 프로그램 등 기존 지원방안은 물론 필요시 추가 대책을 강구하는 등 상황변화에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가계 및 기업부채의 증가, 실물경제와 괴리된 부동산 가격의 상승 등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점검‧모니터링하며 적극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책형 뉴딜펀드 조성, 법정 최고금리 인하, 금융소비자보호법 안착 등도 주요 과제로 꼽혔다. 은 위원장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형 뉴딜펀드는 관련 예산이 지난 2일 국회를 통과한 만큼 조속한 시일 내 본격 조성되도록 준비 중에 있다”며 “내년 하반기부터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추진될 예정이므로 정책서민금융 공급 확대 등을 통해 서민들이 금융이용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하고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우리 금융산업에 빠르게 안착하도록 세심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정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이해관계자·전문가들과의 소통도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코로나19 확산세, 경제회복 속도 등 내년도 금융정책 여건 및 주변 환경이 매우 불확실한 만큼 그 어느 때보다 금융당국과 시장‧이해관계자‧전문가 및 국민 간의 소통이 중요한 시기”라며 “긴밀히 소통하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올해를 돌아보며 “일부 사모펀드의 부실 등으로 많은 투자자가 피해를 입은 점은 무엇보다 뼈아프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좀 더 일찍 펀드부실을 인지하고 감독하지 못한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며 앞으로 투자자 보호에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필요한 노력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