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송철 연구원은 "시장은 코로나 이후 경기 회복을 미리 반영하면서 상승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내 주식 리스크 프리미엄은 당시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면서 "2004~2007년은 중국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한국의 소재, 산업재 업종이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미래 한국은 반도체, 배터리와 같은 새로운 성장 산업을 중심으로 밸류에이션 할인 폭을 줄여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1년 뒤 예상 이익이 10% 하향 조정돼도, 2006년 수준으로 국내 주식시장의 글로벌 대비 밸류에이션 할인이 줄어든다고 가정하면(상대 P/E 0.75배, 10% 밸류에이션 상승), 지수 전망은 역시 15% 이상 오를 수 있다고 봤다. 이 수준이 KOSPI 3,150~3,200p 선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수 하단도 과거보다는 높아질 것"이라며 "저금리로 투자 대상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60조 원을 넘고 있는 주식시장 대기자금(예탁금) 때문"이라고 밝혔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