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지국에서 전파가 전달되는 무선환경은 신규 빌딩 건축, 택지 개발, 지형 변화 등으로 매일 변화한다. 그동안 LTE(4G)를 비롯한 모든 이동통신 서비스는 엔지니어가 직접 현장의 기지국을 조절해 최적의 품질로 유지해왔다.
‘5G AI+’를 활용하면 매일 변화하는 무선환경을 반영해 고객 서비스 품질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지국 등 추가 설비투자가 필요한 지역을 자동으로 선정해 추후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5G AI+를 이용한 5G 품질 자동 개선 작업은 7월부터 수도권·강원권에서 우선 시작됐으며,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박송철 LG유플러스 NW기술운영그룹 전무는 “앞으로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로 5G 품질도 올라가게 된다”며 “점차 넓어지는 5G 커버리지(적용범위)와 함께 품질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해 고객에게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