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은 11일 발표한 ‘2020년 하반기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하반기 코스피지수가 2050∼2350포인트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주요국 대비 양호한 방역 성과로 실물경제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은 점은 향후 경기 및 주가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또한 풍부한 글로벌 유동성과 주요국의 통화 및 재정정책의 효과로 추가상승 여력이 일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다만 국내외 경제활동 재개로 예상되는 하반기의 경기 정상화는 상당 부분 주가에 선반영돼 지수의 추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 중 대외적인 위험요인은 국내 주식시장의 조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감염확산으로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회복 과정에 차질이 발생한다면 수출 위주의 국내 경제 및 주가지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미중 무역분쟁의 재부각 또는 코로나19 이후 경제 상황이 안정되면서 관세나 출구전략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국가 간 갈등도 국내 주식시장의 조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경제는 코로나19 감염확산에 따른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올해 중 역성장(-0.8%)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가 9월 이후 2차로 확산돼 4분기 중 신규 확진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규모 봉쇄조치가 재개되는 대규모 2차 확산 시나리오에서는 올해 성장률이 -1.9%로 내려앉을 것으로 관측했다.
경기 전망 상방 불확실성으로는 △국내외 적극적 경기대응 △경제재개 후 선진국의 빠른 회복 등을, 하방 위험으로는 △코로나19 2차 감염확산 △경제 재개후 선진국의 빠른 회복 △반도체 경기 회복 지연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고용 부진에 따른 가계부채 악화 등을 제시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제시하면서도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기준금리는 올해 하반기 중 한 차례 추가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국내 성장경로 및 물가상승률 전망(올해 0.4%→내년 1.1%)을 감안한 적정 기준금리는 0% 수준으로 추정된다”며 “2차 감염 확산 시 가계 및 기업부채 불안 우려에 대응해 국채 금리를 안정화하기 위해 양적완화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의 적극적 국채매입을 전제로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올 3분기 연 0.6%, 4분기 1.1%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3분기 연 1.0%, 4분기 연 1.6%로 내다봤다. 원·달러 환율은 하반기 중 달러당 1160~1240원 수준을 오가며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