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오후 임시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 1.25%에서 0.75%로 50bp 인하했다. 사상 처음 '0%대 금리'에 진입하면서 이차역마진 폭이 커질 것을 우려한 국내 보험사들은 보험료 인상으로 손실 만회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한은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해 보험사들이 예정이율 인하로 얻는 효과가 예상보다 적어 인하폭을 더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생보사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만 낮아져도 생보사는 수천억원대 손실을 보게 된다"면서 "기준금리가 0%대가 된 만큼 고금리 확정형 상품을 대거 판매했거나 최저보증이율이 높은 상품을 가진 생보사들은 예정이율 인하폭을 더 크게 잡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보험사들은 보험 계약자에게 받은 보험료를 운용해 수익을 창출하지만,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자산운용이익률은 더 낮아질 전망이다.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생보사들의 운용자산이익률은 3.5%로 역대 최저를 기록중이다. 보험료 평균 적립이율인 4.25%보다도 0.75%포인트 낮은 수치다. 위지원 한국신용평가 실장은 최근 발간한 '코로나19 사태가 금융부문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현 수준에서 추가적인 금리인하가 이뤄질 경우 운용자산이익률 하락으로 인한 보험사들의 이차역마진 부담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며 "이러한 요인은 손보사보다는 생보사에 더욱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했다.
손해보험사들도 보험료 인상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있다. 생보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금리 영향을 덜 받지만, 손보사 역시 저금리로 인해 자산운용수익률이 낮아진다면 보험료를 더 올릴 수도 있다는 전망에서다. 올 초 자동차보험 등 손해율이 치솟던 손보업계는 보험료 인상을 통해 간신히 손실 폭을 줄인 상태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