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우 연구원은 "미국처럼 내수 비중이 절대적인 국가는 순수출의 기여도 급증이 향후 성장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에 2020년 미국의 내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4분기 실질GDP는 전기 대비 연율 2.1% 증가했다. 애틀랜타 Fed의 예측모델 1.7%를 웃도는 결과였다.
2019년 연간 성장률은 2.3%로 대체로 예상에 부합한 결과를 나타냈다.
박 연구원은 4분기 결과에 대해 "민간소비는 양호했으나 민간투자 부진이 지속됐다"면서 "지출 항목별로는 개인소비지출이 전기 대비 연율 1.8% 증가해 2개 분기 연속 둔화되긴 했으나 예상을 상회했고 절대 수준은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그러나 "민간투자 둔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주거용 투자가 5.8% 늘며 2개 분기 연속 증가했으나 비주거용 투자는 1.5% 줄며 3개 분기 연속 역성장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예상보다 민간재고가 크게 줄어들었고 3개분기 연속 재고 소진이 진행된 점은 향후 투자 부진을 일부 상쇄시켜 줄 것으로 예상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