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자동차·실손보험 손해율이 치솟으면서 이를 극복하지 못한 결과, 영업이익은 90.9%나 쪼그라든 241억400만 원에 그쳤다.
한화손보의 11월까지 자동차보험 누적 손해율은 94.7%로 집계됐다. 주요 손보사들의 손해율이 모두 90%를 넘기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형사들은 채권매각 등으로 순이익 하락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한화손보는 금리 상승기에 대비해 지난 2018년 1분기에 2조2000억 원 규모의 매도가능채권을 만기보유로 회계상 재분류를 단행하면서, 올해는 채권매각을 통한 순익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산운용을 통한 실적 방어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한화손보는 내년 초 예정된 실손보험과 자동차보험의 보험료 인상을 기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손보사들은 그간 사업비를 최대한 줄이고 CM채널을 활성화하는 등의 노력을 해왔지만, 보험료 인상이라는 근본적 해결책 없이는 실적 방어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자동차보험의 경우 올해에만 두 차례의 보험료 인상이 있었음에도 불구, 높아진 손해율을 감당하지 못해 연간 약 1.5조 원의 적자 발생이 예상되면서 내년 초 추가적인 보험료 인상이 단행될 전망이다.
2020년의 경우 인상안이 17~18% 수준이므로 문재인케어 반사효과가 반영되지 않으면 최소 15% 이상의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영업 효율화를 위한 한화손해보험의 쇄신 의지는 연말 조직개편에서도 드러난다. 조직총괄 체제를 과감히 혁파하고 임원 수도 감축하는 등, ‘줄일 수 있는 것은 다 줄이자’는 취지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모습이다.
장기보험부문과 자동차보험부문이 업무지원실로 통합되거나, 전략영업무문과 기업보험부문의 통합되는 등 조직은 ‘2개 총괄-11부문·실-35개팀·본부’가 ‘6부문·실-30개팀·본부’로 재편됐다. 임원 역시 기존 34명에서 28명까지 줄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영업 불황으로 인한 조직 축소는 비단 한화손보만의 일이 아니다”라며, “말로만 위기라던 시절은 지나고 보험업계가 진정한 위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것이 체감으로 확 느껴지는 시기가 왔다”고 평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