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금융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가 DLF투자손실에 대해 40%~80% 배상을 결정한 가운데 해당 은행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박혜진 연구원은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기초자산 독일국채, 영ㆍ미 CMS DLF의 전체 판매액은 각각 4,012억원, 3,938억원으로 9월 25일 기준 중도환매 및 만기상환으로 손실이 확정된 금액은 각각 471억원, 746억원이라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올해 4분기 만기도래분의 손실액이 확정돼 대손충당금을 적립할 여지가 많다"면서 "9월 25일 평균 손실률 57.2%, 평균 배상률 65%를 가정할 경우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적립할 대손충당금은 각각 175억원, 277억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9월 25일 대비 11월 8일 독일 국채 10년물과 영국 및 미국 CMS의 금리는 각각 32bp, 20bp, 21bp 상승했다. 현재도 금리는 하락하지 않고 있다"면서 "따라서 현 금리수준이 유지된다면 향후 잔액에 대한 평균 손실률은 -8.3%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금융감독원에서 11월 8일 예상한 손실률과 평균 배상률 65%를 가정한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잔여금액에 대한 충당금 적립액은 각각 389억원, 456억원에 불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은행권 전체적으로 2019년 11월 기준 판매액 50조원을 상회하는 주가연계신탁(ELS) 판매가 허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점증됨에 따라 금융상품 판매 수수료 감소는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수료 감소 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자체가 다양화되지 않은 가운데 그 동안 수수료 기여 비중이 컸던 일부 고위험상품군에 대한 판매가 위축되는 점 또한 은행주 센티먼트에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