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올해 6월 배터리 과열으로 인한 화재 우려 등으로 리콜 조치된 애플 맥북 프로 일부 모델은 판매된 1만 3778개 중 실제 회수된 제품은 2000여 개에 불과했다.
또한, BOSE의 스피커의 경우 추락 위험 문제로 판매된 3000개가 리콜 조치되었지만 이 중 실제 회수된 제품은 전무하다. 이어 샤오미의 경우 접힌 부분의 나사가 느슨해져 잠재적 위험을 야기한다는 이유로 리콜 조치된 전동킥보드 판매량 10대 중 단 한 대도 회수하지 않았다.
특히, 이케아의 경우 선반지지대 중 일부가 충분히 길지 않아 떨어질 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리콜 조치된 신발장 3802개는 단 한 개도 리콜되지 않았다. 낙상사고 위험이 있는 이유로 리콜 조치된 859개의 서랍장 역시 리콜 조치된 수량은 0다.
이외에도 완구 기업 플라잉 타이거의 제품 중 작은 부품의 질식 위험으로 리콜 조치된 장난감의 판매수량 1522개 중 108개만이 회수되었으며 유아 질식 사고가 발생하여 리콜 조치된 피셔 프라이스의 유아용 침대 600개 중 실제 회수된 것은 전무한 등 해외 기업의 자발적 리콜 실적이 판매량에 크게 못 미치는 점을 최인호 의원은 지적했다.
오승혁 기자 osh0407@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