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간 DLS 발행금액은 총 1956억원으로 집계됐다. 사모가 1784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공모는 172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직전 1주일(8월 9일~16일)의 2196억원보다 10.9% 감소한 수준이다.
발행회사별로는 NH투자증권의 발행금액이 지난달 2487억원에서 이달 330억원으로 86.7% 급감했다. 같은 기간 미래에셋대우 발행금액도 2348억원에서 496억원으로 78.9% 감소했다. 지난달 발행금액 기준 1위를 차지했던 하나금융투자는 4030억원에서 1479억원으로 63.3% 줄었다.
이어 교보증권(1610억원→530억원, 67.1%), 신한금융투자(2595억원→799억원, 62.2%), 한국투자증권(780억원→474억원, 39.2%), 삼성증권(3051억원→2004억원, 34.3%) 등 다른 증권사도 발행금액을 축소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진 데다 저금리 기조까지 겹치면서 중위험·중수익인 DLS 상품에 투자자금이 꾸준히 유입된 영향이다. 이에 증권사들도 적극적으로 DLS를 발행했지만, 이달 들어서는 상황이 달라졌다.
DLS는 금리나 환율, 원자재, 신용 등 다양한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에 따라 원금과 수익률이 결정되는 파생금융상품이다. 만기가 있는 상품으로 중도 상환이나 조기상환도 가능하다. 주가연계증권(ELS)과 수익구조는 같으나 주식이나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와 달리 DLS는 기초자산의 범위가 넓다.
올해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주도로 대거 판매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도 영국·미국 이자율 스와프(CMS) 금리와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등 기초자산 금리가 급락하면서 대규모 평가손실이 발생했다.
이들 상품은 만기에 기초자산인 해외금리가 일정 수치 이상이면 원금과 연 3~5%의 수익을 상환을 받지만, 일정 수준을 밑돌면 기초자산의 하락폭에 따라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문제는 올해 들어 영국 CMS 금리와 독일 국채 금리가 급락하면서 발생했다. 이들 금리와 연동된 상품인 금리연계형 DLS 수익률도 대부분 반토막이 난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국내 금융사의 주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 판매 잔액은 총 8224억원이다. 이중 영국·미국 CMS 금리 연계상품이 6958억원,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이 1266억원 규모로 판매됐다.
영국·미국 CMS 금리 연계상품은 전체 판매 잔액 중 85.8%가 손실구간에 진입했다. 현재 금리 수준이 만기(9월~11월)까지 유지될 경우 예상 손실금액은 3354억원(손실률 56.2%)이다. 판매 잔액 전체가 손실구간에 진입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상품은 1204억원(손실률 95.1%)의 손실이 예상된다.
예탁원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연계 사모 DLS는 NH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가 각각 8건, 6건 발행했다(지난 13일 기준). 영국 파운드화 이자율 스와프(CMS) 7년물 금리연계 사모 DLS를 발행한 증권사는 NH투자증권(58건), 하나금융투자(43건), IBK투자증권(8건), 한화투자증권(4건), 신한금융투자(1건) 등이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