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김동원닫기

김 연구원은 “만약 애플이 내년 아이폰에 BOE OLED를 탑재한다고 가정하면 애플은 약 5~7% 수준의 원가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화웨이에 OLED 공급물량을 확대 중인 BOE는 OLED 라인의 가동률을 늘리며 공정기술 향상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연구원은 “특히 오는 2022년 BOE의 OLED 생산능력은 신규투자가 증가하며 16만3000장을 기록해 올해 대비 2.1배 확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독점적 경쟁우위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BOE는 삼성디스플레이와 같이 대규모 OLED 패널을 실제로 공급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아이폰용 OLED 패널 및 모듈의 최종 품질 테스트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최소 1~2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삼성전자, 삼성SDI, 에스에프에이, AP시스템 등 국내 디시스플레이·가전 기업의 독점적 경쟁우위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