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뿐 아니라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은 올해 주요 경영방침 중 하나로 ‘디지털화’를 꼽았다. 6개 시중은행들은 ‘고객 중심 디지털 실현’에 방점을 두고 서비스 편의성 개선에 나서고 있다.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원들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직장 문화도 ‘디지털화’하고 있다. 보수적인 금융권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스타트업과의 제휴, 빅데이터 활용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NH농협은행이 선제적으로 도입한 오픈API 도입도 확산되고 있다.
은행이 비대면 플랫폼 서비스에 사활을 걸고 있는건 금융 환경 변화 때문이다. 카카오뱅크가 카카오 플랫폼을 기반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점, 제3인터넷전문은행 출현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 애자일 조직 운영·디지털 인재 양성 총력
은행은 획기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변신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애자일(Agile)’ 조직 ‘ACE(Agile, Centric, Efficient)’를 운영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12개의 ACE를 운영하고 있다. 경영기획그룹 안에는 ‘디지털 창구 ACE’, ‘MFU ACE’, ‘콘텐츠 ACE’, ‘BPR ACE’, ‘기업여신 디지털 ACE’, ‘가계여신 디지털 ACE’가 있다. 개인고객그룹에는 ‘가계여신 디지털 ACE’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금융그룹 내에는 플랫폼 서비스를 고도화, 개발할 수 있는 ACE 5개를 운영하고 있다. 5개 ACE는 ‘챗봇개발 ACE’, ‘자산관리시즌2 ACE’, ‘리브똑똑 혁신 ACE’, ‘리브온 고도화 ACE’, ‘리브온 콘텐츠 ACE’다.
ACE는 획기적인 상품과 서비스 개발 성과를 냈다. 선생님 특화 상품인 ‘KB 선생님 든든 패키지’, 비대면 전문상담 브랜드 ‘스타링크(Star Link)’, 기업자금관리 플랫폼인 ‘Star CMS’를 출시했다.
비대면 전문상담 브랜드 ‘스타링크(Star Link)’는 ARS 체계를 개편하고 상담 전용 번호를 신설해 고객 불편을 해소했다. 기업자금관리 플랫폼 ‘Star CMS’은 국내 자금관리, 글로벌 자금관리를 통합 제공해 기업인터넷뱅킹 가입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KB국민은행은 “ACE조직 도입 후 4~5단계 의사결정체계를 2단계로 축소해 빠르고 민첩한 의사결정 체계가 확립됐으며, 기획중심 임시조직 등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행중심 조직운영방식이 도입됐다”며 “향후에도 ACE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은행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역량 강화를 위한 인재 육성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금융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에도 공들이고 있다.
우리은행은 전문성을 갖춘 금융인재 양성을 위해 CDP(Career Development Path)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CDP제도는 통해 3개의 직무그룹(전문직무그룹, 지원직무그룹, 영업지원그룹)으로 나누어 운영되며, 직원들은 본인이 희망하는 직무를 선택하여 경력관리를 할 수 있다.
빅데이터, AI(Artificial Intelligence), 디지털마케팅, IT, 정보보호부는 디지털/IT 분야의 업무로서 전문직무그룹에 속한다. 이 분야 역량을 쌓고자 하는 직원들은 공모를 통하여 선발되고, 선발된 직원들은 일정기간의 연수를 거쳐 해당 분야의 업무에 배치받게 된다.
NH농협은행은 2020년까지 ‘디지털 전사 800명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금융부문 내 3개 부서, 1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금융부문 내 애자일 조직인 ‘셀(Cell)’을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신기술 트렌드에 부합하는 디지털금융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NH농협은행은 서울대 빅데이터 과정, 블록체인 전문교육 과정, NH-디지털금융MBA 등 신기술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고 있으며 석박사 학위 과정도 지원하고 있다. SAS, 파이선 등 데이터프로그램 전문 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젊은 직원 중심 디지털 학습조직 운영지원도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전략부 5급 아이디어 모임인 ‘NH-Pathfinder’ 운영을 독려하고자 외부 견학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자율 세미나도 개최하고 있다. 부서 내 디지털 관련 주간 학습조직 확대 운영도 검토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올해 1분기 내 NH디지털R&D센터 설립를 추진할 예정이다. 센터에서는 AI, 클라우드, IoT 등 최신 기술 트렌드 연구와 사업화를 추진하게 된다.
IBK기업은행도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Level-up’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직원들은 스크래치, 파이썬 실습과정을 이수해 프로그래밍 개념과 코딩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 모바일 비대면 서비스 확장…제휴·오픈API 도입
모바일 비대면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 스타트업과의 합종연횡, 오픈API 도입 등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제휴를 통한 서비스 확장에 적극적인건 신한은행이다. 신한은행은 모바일 뱅킹 앱 ‘쏠(SOL)’을 생활 금융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방, 다이소, 암웨이, 넷마블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한은행은 다방과 제휴해 다방 앱 이용자들에게 전세대출 한도를 확인하고 대출을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방 앱 이용자들은 전세 매물정보 하단의 ‘나의 보증금 대출 한도조회 서비스’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전세대출 예상 한도를 조회하고, 신한은행 모바일 앱 쏠(SOL)로 연결해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다방 앱 제휴는 오픈API 기반으로 이뤄졌다.
한국암웨이와는 금융 인프라를 탑재한 물품 구매 플랫폼을 구축하고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특화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 ‘암웨이 월렛(Wallet)’ 서비스를 구축해 암웨이 회원들의 편의성과 금융거래 보안성을 높여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쏠(SOL)’과 암웨이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쏠(SOL)’에는 부동산 정보 검색부터 한도 조회까지 가능한 부동산 플랫폼 ‘쏠 랜드(SOL LAND)’도 탑재했다. 로보어드바이저 알고리즘을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쏠리치(SOL Rich)’도 선보여 앱 하나 만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우리은행은 돈 관리 앱 서비스 플랫폼 ‘뱅크샐러드’와 손을 잡았다. 우리은행은 지금까지 고액자산가 위주로 제공하던 개인자산관리를 모든 금융소비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뱅크샐러드와 오픈API를 공유해 모바일 앱은 물론 은행 영업점에서도 상호 데이터에 기반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하나멤버스, HAI뱅킹, 모바일 브랜치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있다. 하나멤버스와 문자메시지를 통해 30가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HAI뱅킹은 생활 가전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하나은행은 LG전자와 협업해 LG전자 냉장고에 탑재된 스크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중소기업 고객에게 제공되던 편의 서비스를 비대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중기지원 플랫폼 ‘IBK BOX’를 상반기 내 출시할 예정이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