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18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월말 기준 대부업체 이용자 수는 236만7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12월말 대비 10만6000명 감소한 것이다. NICE평가정보의 85개 대부업체 회원사 기준 4~6등급 중신용자 비중은 2016년 12월말 23.3%에서 2018년 상반기 25.7%로 2.4%포인트 증가했고, 같은 기간 7~10등급 저신용자 비중은 76.7%에서 74.3%로 2.4%포인트 줄어들었다.
대부업계는 저신용자 비중이 줄은 원인은 법정 최고금리 인하 요인이 크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대부업체 평균 금리는 2015년말 28%에서 2016년 23.5%, 2017년 21.9%, 지난해 상반기 20.6%로 꾸준히 낮아졌다. 대부업 인식 개선을 위해 자체적으로 대출 금리를 낮춰온 영향도 있지만, 특히 지난해 2월부터는 최고 금리가 27.9%에서 24%로 떨어지면서 대부업체들이 대출 심사를 강화하면서 저신용자들의 대출 승인을 거절하는 일이 이전보다 잦아졌다는 분석이다.
대부업계 관계자는 "대부업체는 리스크가 큰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대신 타 금융권보다 이자를 높게 책정해 운영이 가능했던 것"이라며 "금융 당국의 정책에 부응해 대출 금리를 꾸준히 낮춰왔지만, 지난해에는 최고 금리마저 낮아지면서 더 이상 운영이 어렵다고 판단해 일부 업체들은 사업 철수를 하고있다"다고 말했다. 이어 "대출 심사를 강화하고 있는데 대부에서마저 거절당한 저신용자들을 어디에서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돈 급한 사람들이 불법 사금융에까지 내몰릴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런 우려에 대해 "영세 대부업체 폐업에 따른 대부업 음성화 가능성에 대비하여 불법사금융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및 단속 강화방안을 마련"하겠다는 한편, "저신용자 신용공급 변동 상황, 시중금리동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저신용 이용자의 자금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