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차는 16일자 보고서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2주간 2조원에 달하는 주식 순매도를 기록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그는 "지난해 원화 강세가 외국인 자금 유입을 이끌었으나 올해 초부터 주식자금 유출과 달러/원의 상관관계는 없었다"면서 "올해는 원화 약세가 외국인 주식자금 유출을 유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그는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은 최근 상승했다. 이머징 마켓에서 원화는 무역 파트너들의 통화를 아웃퍼폼했다""고 밝혔다.
이어 "게다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사상 최대 수준에 달했으며, 단기 외채는 감소하고 있다"면서 "결국 외인 주식자금 이탈은 미중 갈등과 반도체 수퍼 사이클 종료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혓다.
수출이 한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1%, 올해 상반기 반도체가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6%에 달한다.
그는 "또한 중국 기술주들에 대한 셀오프는 한국 기술주에 스필오버 효과로 작용했다"면서 "전기전자 섹터는 코스피 18개 섹터 중 외국인 비중이 가장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풍족한 경상수지 흑자와 외환보유액이 자본유출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책 결정자들은 미국의 빠른 금리인상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한다"면서도 "대부분 신흥국에서 미국과의 금리차와 통화약세로 자금이 빠져나갔지만, 한국의 자본유출은 높은 수출 의존도와 한국이 반도체 산업의 주도국가라는 차원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