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전편협)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편의점업계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전국 7만여 편의점의 동시 휴업까지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편협은 “올해 최저임금 7530원 인상으로 편의점 점주들은 아르바이트보다 적은 수익으로 연명하거나 폐업이 속출되고 있다”며 “하반기부터는 잠재적 폐업점포의 연쇄 폐업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현재의 최저임금조차도 이겨내기가 버거운 상황에서 또다시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이 된다면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을 주고 싶어도 줄 수 없는 상황에 이르러 점주들은 범법자가 될 수 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전편협은 △최저임금 업종별차등화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 △영세‧중소 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 구간 5억원에서 7억원으로 확대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앞서 최저임금위원회에서는 경영계가 주장해온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화’ 방안은 반대 14표, 찬성9표로 부결됐다.
전편협은 “현재 주휴수당을 포함한 실제지급액은 9040원으로 정부와 노동계의 요구사항인 1만원에 이미 근접해있다”며 “노동계가 실행 불가능한 주장을 하는 것은 영세소상공인의 삶을 뿌리째 뽑으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전편협은 그동안 검토해왔던 △야간 시간대 5%대 가격 인상 △교통카드 충전 등 공공기능 거부 등의 다소 극단적인 대응방안은 이번 성명서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전편협 관계자는 “그만큼 절박하다는 외침”이라고 설명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