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신미진 기자] 지난해 1일 BBQ가 치킨 가격을 최대 12.5% 인상한 지 1년을 맞았다. ‘치킨 2만원 시대’를 촉발했다는 성난 여론에 BBQ는 가격인상을 철회했지만, 치솟는 인건비와 배달비 등의 압박으로 결국 만 1년만에 교촌치킨이 사실상 가격 인상을 단행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이날부터 전국 가맹점에서 배달 서비스 이용 시 2000원의 이용료를 부과한다. 교촌 오리지날(1만5000원), 허니 오리지날(1만5000원), 허니콤보(1만8000원) 등 기존 메뉴 가격에는 변동이 없다.
교촌치킨 측은 배달 운용 비용의 증가가 가맹점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주된 요인으로 판단해 이번 정책을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지속된 배달 인력난과 배달 서비스 운용 비용의 상승은 가맹점 운영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돼왔다.
교촌치킨 관계자는 “가맹점의 악화된 수익성을 보전하기 위해 검토된 여러 방안 중 배달 서비스 유료화가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날은 지난해 BBQ가 가격 인상을 단행한 날이기도 하다. 당시 대표메뉴인인 황금올리브치킨은 1만 6000원에서 1만 8000원으로 12.5% 올랐다. 황금올리브속안심은 1만 7000원에서 1만 9000원으로, 자메이카통다리구이는 1만 7500원에서 1만 9000원으로 인상된 바 있다.
BBQ 측은 가격 인상 이유로 인건비, 임차료 상승과 배달 수수료 등을 내세웠지만, 같은해 6월 20여개 제품 가격을 추가로 인상하며 ‘꼼수 인상’이라는 비판을 받았었다. 이후 가맹점에 부당한 광고비를 전가하는 등 가맹사업법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까지 겹치자 BBQ는 결국 두 차례의 가격 인상을 전면 철회하면서 소동은 일단락됐다.
프랜차이즈업계는 이번 교촌치킨의 배달비 부과 정책 효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제품 가격이 아닌 배달비 인상으로 앞서 BBQ처럼 소비자들의 큰 가격 저항이 없었기 때문이다. 또 올해부터 크게 오른 최저임금 여파로 더 이상 가격 인상을 미룰 수 없다는 점도 가맹점의 애로사항으로 꼽힌다.
한 프랜차이즈업계 관계자는 “교촌치킨 역시 일각에서 꼼수인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업체 입장에선 합리적인 가격 인상 제도라고 생각한다”며 “이후 무료 배달 기준 상향 등 비슷한 제도들이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